오피니언 비즈 칼럼

전기차 대중화, 충전 인프라에 달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표현명 롯데렌탈 대표

표현명
롯데렌탈 대표

전 세계 도로에서 굴러다니는 전기차는 지난해 60만대를 돌파했다. 자동차 업계에선 전기차 시장이 향후 5년간 연평균 30~50%씩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지난달 4일 195개국이 온실가스 감축에 합의한 파리 협정이 발효되면서 각국은 전기차 보급, 활성화에 더욱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최근 정부와 전기차 관련 업체가 35개 주에 걸쳐 있는 약 4만㎞ 고속도로에 고속 충전 네트워크를 건설하는 대규모 전기차 충전시설 확충 계획에 합의했다. 중국은 전기차 세금 면제 혜택, 공격적인 보조금 정책 덕분에 지난해 전기차 34만대를 만들고, 31만대를 팔았다. 2018년부터 중국에서 5만대 이상 자동차를 판매·수입하는 업체에게 전체 판매량의 일정 비율을 전기차·하이브리드차로 의무 할당하는 것을 검토하는 등 규제를 통해서라도 단기간에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분주하다.

한국도 정부·지방자치단체 주도하에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제주도는 ‘탄소 없는 섬, 제주’를 실현하기 위해 최대 규모 지자체 보조금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공영주차장 주차비를 면제해주고, 전용 주차구역을 확대하는 등 전기차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부는 전기차의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을 검토 중이다. 지난달 16일엔 환경부가 국내 대표 렌터카 사업자 4곳과 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 자리에서 환경부는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 차량 구매시 전기차 렌털 상품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2017년 전기차 보급 목표 1만4000대 중 6000대를 전기차 장기렌터카·리스 상품으로 보급하겠다는 내용이다.

국내 렌터카·카 셰어링 업계에서도 다양한 전기차 장기 렌터카 상품을 출시하고, 최신 전기차 모델을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롯데렌탈도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 BMW i3 등 200대 이상 전기차를 운영 중이다.

문제는 충전 인프라다. 전기차 시장 확대·활성화를 위해선 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합리적 가격·성능의 전기차 출시와 함께 정부의 전기차 인프라 구축을 병행해야 한다. 충전소 보급뿐 아니라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산업 지원 및 절차 간소화, 일관성 있는 보조금 정책 등 소비자가 피부로 느낄만한 지원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충전소 안내 표지판 디자인부터 표준화해야 한다. 주유소 표지판 같은 충전소 안내 표지판을 설치하면 이용자는 충전소를 찾기 쉽고, 일반 국민도 전기차가 일상생활 깊숙이 확산하고 있음을 피부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 업계에선 2017년을 전기차 대중화 원년으로 보고 있다. 내년을 전후로 주요 전기차 업체가 다양한 보급형 전기차 판매에 들어간다. 전기차 활성화는 자동차 산업의 단순한 진화가 아니다. 기존 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꾸는 글로벌 이슈고, 거스를 수 없는 메가트렌드다. 미래 먹거리인 전기차 시장을 대한민국 국민이, 기업이 세계인과 함께 당당히 누릴 수 있도록 이제 정부가 길을 열어주길 기대한다.

표 현 명
롯데렌탈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