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트럼프 행정부서도 한·미간 합의사항 유지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널드 트럼프(제 45대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제 45대 미국 대통령)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한·미가 합의한 정책의 연속성은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10일 기자들과 만나 “미국이 정부가 바뀌고 백악관 주인이 바뀌었다고 해서 나라의 이름으로 합의한 걸 반대로 가거나 안하는 나라는 아니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외교·국방 장관 간 2+2회의에서 합의한 확장억제전략협의회(EDSCG) 신설과 관련해선 “양국 장관들이 문건으로 합의한 것으로, 대선과 관계없이 실무채널 협의가 계속되고 있고 곧 면대면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당국자의 이런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이 자국 이익만 우선에 두고 기존 입장을 뒤집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데 따른 것이다. 트럼프가 선거운동 내내 집요하게 한국에 방위비 분담액 증액을 요구해온 데 대해 이 당국자는 “그런 이야기를 할 때 주요 타깃은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트럼프의 생각을 많이 알고 있는 분들이 우리 측과 협의할때 말 그렇게 이야기한 측면이 있다”고 소개했다. 또 “선거과정 중 나온 언급에 대해선 바로 그렇게 된다기보다는, 당선인 개인의 소신도 있지만 동맹을 중시하는 공화당의 전통적인 정책기조란 것이 있기 때문에 양쪽이 잘 융합되는 과정이 있을 것”이라며 “우리와 관련돼 있는 문제에 있어 우리 입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주미 한국 대사관과 현지 공관을 중심으로 트럼프 진영과 접촉을 계속하고 있다. 이 당국자는 “인수위 인사 구성 등 여러 상황을 봐가면서 가장 효과적으로 인수위 측과 협의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차관급 이상의 고위급 파견 방안에 대해선 “이제까지 인수위 등과의 접촉만을 목적으로 고위급 인사가 미국에 간 적은 없다. 다만, 대선이 끝났고 인수위를 포함한 새 팀과의 협조관계가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방안을 열어놓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올 들어 트럼프 및 공화당 인사들과 106차례에 걸쳐 개별접촉했다고 밝힌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6월에 사실상 후보가 확정된 이후 외교부 내에서 차관보 주재로 태스크포스(TF)팀을 가동했고, 북미국 내에선 과와 상관 없이 트럼프팀과 클린턴팀을 나눠서 본격적으로 준비해왔다”며 “캠프 인사 등 접촉을 통한 네트워킹 구축, 한국과 관련된 후보들의 발언 분석 등을 집중적으로 했고 두 팀이 경쟁하듯 여러 아이디어를 내면서 적극적으로 임해왔다”고 설명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