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특 정상화 적극추진 여야|중계방식 의견 접근…신민 당론 조정 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여야는 26일하오 국회에서 국회개헌특위간사회의를 열어 공청회의 TV중계방식 문제로 교착 상태에 빠진 헌특 정상화 방안을 절충한다.
여야는 그 동안 헌특 간사·원내총무·중진들간의 막후 접촉을 통해 적어도 아시안게임 기간 중에 전체 회의라도 열어 헌특을 정상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데 의견 접근을 보고있으나 신민당 측이 이를 당론으로 받아들일지 주목된다.
여야는 생중계 고수라는 신민당의 당론 때문에 공청회 개최가 여의치 않을 경우 우선 정상화 원칙을 합의하고 공청회는 헌특 분과위 구성 이후로 미루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회의에서 민정당 측은TV생중계 요구를 신민당이 철회한다면 생중계에 준 하는 녹화중계 방법을 받아들일 뜻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이치호 민정당 간사는『민정당은 그 동안 막후대화를 통해 녹화 방송의 방법과 방영시간에 관해서는 어떠한 방법도 과감히 수용하겠다는 뜻을 야당에 전했으며 야당 측도 비교적 긍정적 자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신민당 측은 공정보도만 보장된다면 중계방식문제로 더 이상 헌특을 공전시키는 것이 좋지 않다는 당내 다수의견과 국민여론을 의식, 가급적 정상화하는 쪽으로 내부 의견조정을 벌이고 있다.
신민당은 이날 상오 서울호텔에서 이민우 총재, 이중재·김수한 헌특 간사, 김동영 총무간의 대책회의와 이어 확대간부회의를 잇달아 열어『원칙을 준수하는 범위에서 헌특은 정상화되어야 한다』고 결론짓고 비공식 접촉에서 밝힌 민정당 측의 새 녹화중계 안을 오는 30일 정무회의에 회부, 당론변경 여부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민정당은 이날 간사회의에서 공술인 전원의 발언(각30분)을 1인당20분씩 녹화중계하며, 중계내용의 취사선택에 공술인 자신의 요구와 주장을 최대한 반영해 공정성을 보장하겠다는 제안을 할 것으로 알러졌다.
한편 신민당 내에는 상도동계를 중심으로 생중계 고수라는 당론변경의 어려움 때문에 헌특 정상화가 장애를 받는다면 우선 헌특 전체회의와 분과위 구성부터 하고 공청회는 뒤로 미루자는 주장이 강력히 대두하고 있으나 헌특 무용론을 펴고 있는 김대중씨 측이 생중계 고수를 계속 주장하고있어 당론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