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캠프 한국통은 퓰너가 거의 유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기사 이미지

도널드 트럼프가 지난 3월 외교안보 자문단을 공개하자 정부엔 비상이 걸렸다. 생소한 이름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캠프에 선을 대기 위해 어느 정도 노력은 했지만 한계는 분명했다. 그러다 지난달 에드윈 퓰너(사진) 전 헤리티지재단 이사장이 트럼프 진영에 합류했다는 소식은 외교 당국자들에게 다소 위안이 됐다. 퓰너 전 이사장은 “한국에 대한 애정과 관심은 다른 나라에 비할 바 아니다”(지난해 10월 월간중앙 인터뷰)고 말할 정도로 친한파다. 1971년 한국을 찾은 이래로 매년 두세 차례 방한했으며 북한 전문가이기도 하다.

민주엔 외교호흡 맞춘 인물 많아
“정부, 공화당 내 인맥 적극 활용을”

정부 관계자는 23일 “정통 보수 학자들이 트럼프 캠프의 안보 정책에 직접 관여하는 흐름으로 갈 것”이라며 “그중에는 한국 정부와 인연이 있는 이도 다수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제임스 김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퓰너 전 이사장은 한국의 입장을 잘 이해하는 인물”이라며 “이제 트럼프 캠프가 외교안보 분야에서 틀을 갖추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퓰너는 한국 정·재계 유력 인사들과 친분도 두텁다. 박근혜 대통령과 김대중(DJ) 전 대통령, 정몽준 대한축구협회 명예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이다. 퓰너는 DJ와는 서로 ‘친구’로 불렀고, 박 대통령의 취임식에도 참석했다.

보수 성향의 새누리당 인사들과도 친분이 있다. 새누리당이 95년 출범시킨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은 퓰너의 헤리티지재단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윤상현 의원은 “90년대 존스홉킨스대 교수 시절부터 만났다”며 “지난 대선 때 박 대통령에게 한·미 동맹 강화에 대해 조언도 해준 인물”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퓰너 이외에는 트럼프 캠프와 이렇다 할 인맥이 없다는 건 여전히 문제다.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후보 진영과 쌓아온 네트워크와는 차이가 크다. 클린턴 캠프 측은 후보 본인은 물론 외교브레인인 커트 캠벨 전 국무부 차관보,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대북·대이란제재 조정관 등이 한국 외교 당국자들과 직접 호흡을 맞췄다.

김종석 여의도연구원장은 “지난 총선에서 심윤조·김종훈 전 의원 등 당내 외교통이 거의 전멸해 기존 공화당 라인 외에 트럼프 후보자와 직접 네트워크를 만들기 쉽지 않다”며 “현재로선 현지 학자를 통해 동향을 보고받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인천시장 시절인 2008년 송도국제도시 투자유치차 트럼프 후보와 딸 이방카를 직접 만났던 안상수 의원은 “비즈니스 매너가 훌륭한 분으로 기억한다”며 “성공한 기업가답게 합리적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지난 7월 공화당 전당대회를 직접 참관했던 김세연 의원은 “안보와 경제·무역 정책의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공화당 및 정부 인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수진·안효성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