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봐서 정하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기사 이미지

이주열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공개시장위원회(FOMC)가 2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다. Fed가 기준금리를 조정하지 않자 한은은 일단 시간을 벌었다. 이게 오히려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다.

한은, 추가 금리 인하 고민 깊어져

Fed가 21일 기준금리를 올렸다면 한은은 판단하기 쉬워진다. 금리를 내리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현재 1.25%인 기준금리를 1%로 내릴 경우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좁혀져 외국인 투자자금의 이탈 우려가 생긴다.

그런데 Fed가 금리를 동결하자 한은이 올해 안에 금리를 더 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워낙 경기 상황이 좋지 않아 한은이 통화 완화정책을 더 써야 한다는 목소리다.

한은은 이런 목소리를 덜컥 들어줄 수 없다. 국내에서는 가계부채가 발목을 잡고 있어서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올 들어 가장 많은 8조7000억원이었다. 금리를 추가로 낮춰 가계부채가 더 늘어나면 한국 경제에 큰 짐이 될 수 있다. 향후 미국 금리인상이 본격화하고 한국도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가계의 이자 부담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기사 이미지

이 부분은 정부도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미국의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대비해 가계부채 증가 추이와 부동산 시장 움직임을 면밀히 점검하기로 했다. 정부는 필요시 추가 대응책도 내놓기로 했다.

시장의 전망은 ‘연내 동결’과 ‘연내 인하’로 엇갈리고 있다. 더 구체적인 전망은 10월이 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금리 수준을 결정하는 금통위 회의가 다음달 13일에 열린다.

다음달 발표 예정인 한은 경제전망도 변수가 될 수 있다. 한은이 기존 경제성장률 전망치(2.7%)를 고수한다면 금리동결 가능성이 커진다. 반대로 경제 성장세가 예상보다 부진하다면 금리를 추가로 내려야 한다는 명분이 강해질 수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디플레이션과 내수 침체가 고착화하고 있어 한은이 금리를 낮출 여지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미국 금리동결로 이날 달러화가 약세로 돌아서면서 원화가치는 급등했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화가치는 전날보다 16.8원(1.5%) 오른 달러당 1103.3원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지수도 전날보다 13.71포인트(0.67%) 오른 2049.70에 거래를 마쳤다.

박진석·하남현·김경진 기자 kaila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