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본고사 부활키로-학력고사합격자만 응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와 여당은 현행 대학입시제도를 개선해 현재의 대학입학 학력고사를 그대로 두되, 대학별로 본고사를 치러 학생선발을 각 대학이 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개혁 심의회는 이 같은 내용을 주요 골간으로 하는 대학입학제도 개선 안을 마련, 민정당측과 협의를 거쳤으며 곧 정부측에 보고, 최종적인 결론을 내릴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개혁 심의회는 대학입학 학력고사에만 의존하는 현재의 대학입학제도로는 2000년대의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인재양성이 불가능하다고 결론 짓고 ▲자율성 ▲다양성 ▲수월성에 입각, 대학입시제도를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현재 「선 시험-후 지원」의 형태로 국가가 전적으로 관리하는 대학입학제도에서 탈피, 대학에 선발권을 일임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개선한다는 것이다.
교육개혁 심의회가 마련한 개선 안은 현재의 대학입학 학력고사를 대학에 입학하여 수학을 계속할 수 있는 능력을 테스트하는 학력평가고사의 성격으로 운영하고 이에 합격한 학생들이 각 대학을 지원, 대학별로 실시하는 본고사를 치르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실상 대학별 본고사가 부활되며 「선 시험-후 지원」에서 대입학력고사 후 「선 지원-후 시험」의 방식으로 되돌아가는 셈이다.
이와 관련, 민정당의 고위 소식통은 28일 『대학입학 학력고사와 고교 내신성적 및 대학별 논술고사성적으로 선발하는 현행제도 중 논술고사뿐 아니라 대학별로 실질적인 본고사를 치른다는데 의견이 모아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개선 안이 시행되면 각 대학은 대학별 본고사 성적과 학력고사 및 고교 내신성적을 토대로 하여 학생들을 선발하게 되는데, 이 소식통은 『학력고사·본고사·내신성적 등에 대한 배점은 각 대학에 일임키로 한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개선 안의 실시시기에 대해서는 『교육개혁심의회의 연구기간 시한이 87년말이므로 그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가 끝나고 최종적인 결론이 내려진 후에 실시시기를 확정할 예정인데 충분한 준비기간을 둔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개혁 심의회는 그동안 대학입학시험제도에 대해 공청회 등을 거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