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0원 한 달새 4승…“밴무원 별명 제게 딱이네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8면

기사 이미지

내성적인 성격의 앤디 밴헤켄은 마운드 위에서 좀처럼 감정 표현을 하지 않는다. 1시간 넘게 인터뷰를 하는 동안에도 표정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 그는 휴일에도 조용히 청소와 빨래를 한다고 한다. 인터뷰가 다 끝날 때가 돼서야 살짝 미소짓는 표정을 잡을 수 있었다. [사진 김상선 기자]

프로야구 최고의 ‘공무원’ 앤디 밴헤켄(37·넥센)이 돌아왔다.

일본서 어깨 부상 탓 승리없이 4패
세이부, 잔여연봉 책임지며 방출
친정 복귀 매경기 5이닝 이상 호투
팬들 “공무원처럼 안정적인 경기”
“일본서 의사소통 잘 안 돼 부진
한·일 야구 실력 격차 크지 않아”

2012년 넥센의 유니폼을 입고 한국 무대에 등장한 밴헤켄은 5년 동안 ‘밴무원(밴헤켄+공무원)’으로 불렸다. 강속구나 화려한 변화구는 없지만 선발 로테이션을 꾸준히 지키며 5~6이닝을 기본으로 던지기 때문이다. 지난해까지 4년간 120경기에 등판해 58승 32패, 평균자책점 3.54의 성적을 거뒀다.

한국에서 ‘정년퇴직’ 할 것 같던 밴헤켄은 지난해 말 일본 프로야구 세이부 라이온즈로 이적했다. 연봉이 두 배(8억원→15억원) 가까이 올랐다. 그러나 왼 어깨 부상으로 고전했고, 10경기에서 4패(평균자책점 6.31)만 기록했다. 세이부가 지난달 15일 밴헤켄을 방출하자 넥센은 피어밴드(kt)를 내보내고 밴헤켄을 다시 데려왔다. 지난 25일 고척스카이돔에서 만난 밴헤켄은 “일본에선 야구가 그저 직업이었다. 즐겁게 할 수 없었다. 한국에서 다시 ‘밴무원’ 다운 투구를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다시 돌아온 기분이 어떤가.
“고척돔에서 던지니까 폭염도 모르고 지나갔다. 한국으로 돌아올 때 1초도 망설이지 않았다. 언젠가 한국에 오겠다는 생각으로 일본에 갔다. 일본에서 몸 상태가 워낙 안 좋았다. 한국에서도 못할까봐 불안했지만 익숙한 포수 박동원이 내 앞에 앉아 있었다. 또 친한 동료들이 내 뒤에 있다는 생각이 들어 마음이 편했다.”

밴헤켄은 지난달 28일 두산전에서 6이닝 무실점으로 복귀 첫 승을 따내는 등 6경기에서 4승(무패)을 올렸다. 구속을 시속 145㎞까지 올렸고, 주무기인 포크볼도 날카롭게 떨어지고 있다. 6경기 평균자책점이 1.22에 불과하다.

기사 이미지
일본에선 왜 부진했나.
“일본은 한국과 같은 아시아지만 문화적으로 달랐다. 왼 어깨 부상으로 100% 컨디션이 아니었다. 그런 상황에서 스피드를 더 내려고 억지로 던지다 보니 투구폼이 망가졌다. 성적이 부진하자 팀에 서운한 점도 생겼다. 어깨가 아플 때 내가 생각하는 치료법을 설명했지만 구단이 잘 이해하지 못했다. 즐겁게 야구를 할 수 없었다. 이지풍 넥센 트레이닝 코치는 정확한 방법(어깨 웨이트트레이닝)을 알려줬다. 큰 도움이 됐다.”
한국과 일본의 수준 차가 컸나.
“내가 일본에서 못했던 건 몸이 안 좋아서였다. 두 나라 야구 실력에 큰 격차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일본 팀들은 하위타선도 강하다는 게 한국과 다른 점이다.”

넥센은 세이부로부터 밴헤켄을 양도하며 이적료 30만 달러를 받았다. 세이부가 올해 잔여 연봉을 주기 때문에 넥센은 성적에 따른 인센티브(10만 달러)만 지급하기로 했다.

넥센의 대우가 서운하지 않았나.
“금전적인 조건을 따지지 않았다. 일본에서 뛸 때도 박병호(미네소타) 등 동료들과도 연락을 주고 받았다. 투수 한현희와 조상우가 부상으로 못 던진다는 사실도 알았다. 넥센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젊은 선수들이 잘해줬다. 특히 신재영이 꾸준한 성적(13승 5패)을 올리고 있다. 강속구가 아닌 제구력으로 승부하는 점이 나와 비슷하다.”
넥센 타선이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가 많다.
“박병호·강정호(피츠버그)·유한준(kt) 등 강타자들이 빠져나갔지만 그들의 공백을 메울 선수들이 성장했다. 윤석민·채태인이 슬러거 역할을 해주고 있다. 무엇보다도 마운드가 강화돼 포스트시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것 같다.”
공무원처럼 성실하고 안정적이여서 팬들이 ‘밴무원’이란 별명으로 부른다.
“그런가? 처음 들어봤다. 아주 마음에 든다. 하하하. 안정적인 투구를 하는 게 목표인데 그걸 정확히 묘사했다. 내가 등판하는 경기에서 팀이 승리하는 것만 생각한다.”

염경엽 넥센 감독은 “밴헤켄은 우리 팀의 기둥”이라고 말했다. 손혁 넥센 투수코치는 “밴헤켄은 선발 투수의 교과서”라고 했다.  

‘밴무원’의 정년은 언제일까.
“지금까지 체력적으로 힘들었던 적은 없었다. 팀에 도움이 될 때까지 던지고 싶다. ”
승리투수가 되는 순간에도 잘 웃지 않더라.
“차분하고 내성적인 성격이어서 그렇다. 그래도 한국에 와서는 많이 웃는 거다. 일본에선 더 안 웃었다.”
휴일은 어떻게 보내나.
“쉬는 날에는 야구 생각을 아예 하지 않는다. 청소하고, 빨래한다. 집안 일을 열심히 하는 남편이다.”

글=박소영 기자 psy0914@joongang.co.kr
사진=김상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