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우주 야심…달에 유인 레이더 관측기지 세운다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아폴로17호에 잡힌 달 표면. [사진제공=일민미술관]

중국이 달 표면에 유인 레이더 기지 건설을 위한 타당성 연구를 시작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1일 보도했다. 달 기지 프로젝트에 소요될 막대한 비용과 효용성에 많은 전문가가 의문을 제기하지만 중국 정부는 프로젝트 팀에 힘을 실어줬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중국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NSFC)는 올해 초 입안된 프로젝트에 이미 1600만 위안(27억원)의 초기 연구자금을 배당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현존하는 첩보 위성보다 더 넓은 지역을 탐지할 수 있는 50m 높이의 대형 레이더 안테나와 이를 운용할 우주인을 위한 기지가 달에 세워진다. 레이더 기지가 발사하는 고주파 극초단파는 구름은 물론 지표면까지 꿰뚫을 수 있어 육상과 심해·지하를 아우르는 선명한 영상을 생산해 지구로 전송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최고 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은 지난달 베이징 샹산(香山)호텔에서 계획을 논의했다.

무인 달 탐사 프로젝트에 참가했던 옌쥔(嚴俊) 국가천문대 대장과 린양팅(林陽挺) 중국과학원 지질 및 지구물리연구소 교수 등이 이번 연구에 합류했다. 연구팀장을 맡은 궈화둥(郭華東) 중국과학원 원격·디지털 지구탐지연구소 소장은 “달을 지구 원격 탐지를 위한 자연 위성이자 새로운 플랫폼으로 만들면 지구의 더 넓은 면적을 더 긴 주기로 연속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0일 선전(深?)에서 열린 제20회 중국원격탐지대회에 참석한 궈 소장은 “달은 지구 관측을 위한 플랫폼으로 안정성과 무제한의 사용 기한 등 위성보다 많은 장점이 있다. 지구상의 기후변화나 지진·농업·극지빙하모니터링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달 표면의 레이더는 현존하는 장거리 통신기술의 대역폭을 뛰어넘는 초당 1.4GB(기가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생산하게 되지만 현장의 우주인이 곧바로 정보를 가공 처리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인 달 기지에 대한 반대론도 거세다. 익명의 과학자는 “황당한 아이디어”라며 “모든 지구 궤도를 첩보위성으로 채우는 것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우이궈(周以國) 중국과학원 전자학연구소 연구원은 “달과 지구의 거리는 가장 높은 궤도 위성의 10배”라며 “고비용과 높은 위험에도 불구하고 인공위성을 능가하는 장점이 얼마나 있을지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낙관적인 입장이다. 차이위청(柴育成) NSFC 상무부주임은 “중국의 미래 과학 청사진 가운데 이번 달 기지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프로젝트 팀을 격려했다고 SCMP는 보도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