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터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영국과 프랑스를 바다 밑으로 연결시키려는 「2백년의 꿈」이 드디어 실현을 보게 되었다.
영국의 「대처」 수상과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은 20일 「역사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도버해협 터널 건설 계획에 서명했다. 전장 51㎞인 이 터널의 총 공사비는 36억 달러로 내년에 착공하여 93년에 완공할 계획이다.
도버해협에 해저터널을 뚫는 아이디어를 처음 낸 사람은 1751년 프랑스의 지질학자 「에콜라·데마레」다. 그는 당시 아미에 아카데미가 모집한 현상 공모에 이 안을 내어 당선했다.
1802년에 「나폴레옹」은 영국과 평화조약을 맺으면서 이 터널 건설 계획을 제안했었다. 그리고 몇 년 뒤 「나폴레옹」이 다른 유럽 제국과 교전에 들어가자 영국은 이 터널이 침공 루트가 되지 않을까 불안에 휩싸였다.
그러나 1878년에는 양국이 터널 협정에 조인, 프랑스는 칼레 남쪽 상가트촌에 최초의 시험 갱을 뚫기 시작했다. 영국은 3년 뒤 도버읍 근처에서 같은 공사에 들어갔다.
하지만 1882년 영국 의회는 역시 「국가의 안전」을 위해 터널 건설 계획을 중단키로 의결한 일이 있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도 터널 건설 계획은 여러 번 제론 되었다. 2차대전이 끝난 직후 영국 의회는 「원자탄 시대에 터널 침공」 운운은 설득력이 없는 주장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 터널이 완성되면 지금까지 파리에서 런던까지 5시간 걸리던 것이 3시간반 정도로 단축된다.
기술적으로도 도버해협 터널 건설엔 별로 큰 문제가 없다. 실제로 이 터널은 전장 53.85㎞로 세계에서 가장 긴 일본 세이깐 터널보다 3㎞나 짧고, 해저 굴착도 깊이 할 필요가 없다.
청함 터널의 경우는 해저 밑 1백m에서 단단한 규암 지층과 싸웠고 또 지진을 염두에 둔 공사였다.
도버해협 터널은 해저 40m의 야물지 않은 초크층(천해의 퇴적물로 형성된 이회질의 지층)에 건설하는 것이다.
이 세이깐 터널 건설의 주역인 「삿사」(북해도대 명예교수)란 사람은 현재 현해탄의 해저터널도 구상하고 있다.
남북한이 통일되면 일본에서 한반도를 거쳐 실크로드를 따라 아시아와 유럽 대륙을 연결하는 장장 2만㎞의 「유라시아 하이웨이」라는 꿈같은 계획이다.
일본측은 이미 대마도까지 지질조사를 끝내고 올해 안에 일단 노선을 확정하기로 되었다.
인간의 꿈은 언젠가는 실현된다. 그러고 보면 이 대 역사도 머지 않아 현실로 나타날지 모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