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박 대통령, 배신 행태 보여준 친박 먼저 버려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어제 몽골 순방을 마치고 박근혜 대통령이 귀국했다. 지금 박 대통령이 직면한 문제는 ‘대정부 불신’을 ‘대국민 설득’으로 푸는 일이다. 그런데 설득의 주체들이 하나같이 상처입고 조롱받고 있다. 청와대의 우병우 민정수석이 구속된 진경준 검사장과의 연계성을 의심받고 있고, 황교안 국무총리와 한민구 국방장관의 사드 대처 방식은 기계적이고 수동적이다. 외부 시위꾼의 성주 폭력 사태 개입은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전 국민적 공분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왜일까. 박근혜 정부의 신뢰성과 설득력이 추락했기 때문이다. 김희옥 비상대책위원장의 새누리당은 정당 본연의 국민의사 결집 능력조차 상실했다. 대통령을 뒷받침하는 당·정·청 3각체제가 총체적으로 작동위기에 빠진 듯하다.

당·정·청 문제의 해결은 새누리당에서 시작돼야 한다. 청와대와 정부는 인사·소통 문제에 꽉 막혀 꼼짝달싹도 못하는 처지다. 하지만 새누리당의 경우 그제 발표된 총선 백서에서 4·13선거의 참패 원인을 박 대통령의 ‘유승민 원한 정치’와 친박의 맹목적 충성주의에서 찾지 않았다. 계파갈등, 공감 부재, 불통, 자만 같은 애매모호한 용어로 채워넣었을 뿐이다. 누구에게도 책임을 묻지 않은 백서는 친박 세력에겐 회심의 면죄부다. 당장 친박 그룹의 원로 보스인 서청원 의원이 당 대표에 출마할 채비를 하고 있다. 서 의원의 출마는 본인의 욕심 말고도 박 대통령의 기대와 이해관계가 반영됐다고 봐야 한다.

그러나 사드 사태에서 드러난 대구·경북 출신 의원들의 행태처럼 어제까지 충성을 맹세하던 사람들이 하루아침에 집단 배신을 때리는 게 박 대통령이 믿어 온 친박의 실체 아니던가. 임기말로 갈수록 친박을 자처하는 사람들이 분화하고 서로 싸우다 결국 박 대통령을 버리고 말 것이란 예상은 엉뚱한 상상이 아니다. 박 대통령은 서청원 의원의 출마를 포기시키는 게 좋다. 이 결단이 친박에 대한 집착이나 의존성에서 박 대통령을 벗어나게 할 것이다. 새누리당도 변화의 동력을 얻을 수 있다. 집권당이 정권 재창출을 위해 민의를 수렴하며 정부를 견인하고 청와대에 직언하는 풍토가 만들어지면 박 대통령의 대국민 설득 능력도 저절로 올라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