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난소암 재발 고위험군 환자 표적치료제 건강보험 적용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한 30대 젊은 난소암 환자가 최근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진단 결과 암세포가 림프절까지 침범한 3C기였다. 결국 몸에 아직 암이 많이 남아 있는 고위험군으로 판단돼 표적치료를 병행할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집안 형편이 좋지 않았던 환자는 건강보험 급여가 안 되는 고가의 표적항암제를 사용할 수 없었다. 일반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으며 재발에 대한 두려움 속에서 암과 사투를 벌여야 했다. 한창의 나이에 고통받는 환자를 보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었다.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암 치료 환경이 많이 개선되고 있지만 난소암 치료제의 급여 확대 요구가 높은 이유는 난소암 질환의 특성과 치료의 어려움 때문이다. 의료계에서 난소암은 다루기 까다로운 암으로 손꼽힌다. 조기 발견이 어려워 암세포가 다른 장기로 이미 퍼져 있는 말기 단계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의사로서 최선을 다해 수술하더라도 난소암의 특성상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암세포가 남아 있어 수술 직후 항암치료가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재발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환자는 1차 치료에서 보다 강력한 치료가 적용돼야 한다.

2013년 난소암 영역에서도 최초의 표적치료제 국내 사용이 승인됐다. 현재까지도 진행성 난소암의 1차 치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표적치료제다. 암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신생 혈관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종양의 성장과 전이를 막는다. 난소암은 예방을 위한 백신이나 검진이 따로 없었고 신약 개발조차 더딘 부인과의 불모지였다. 표적치료제 출현이 엄청난 기대를 받은 이유다.

3기 이상의 말기 난소암 환자들은 대부분 진단 후 1~2년 사이에 재발을 겪는다. 암이 재발하게 되면 환자는 항암제를 바꿔가며 항암치료를 받는다. 하지만 항암치료를 거듭할수록 치료 효과는 떨어지고 합병증 위험은 높아진다. 이에 따라 난소암은 재발되기 전 첫 번째 치료, 즉 1차 치료가 생사를 결정짓는 ‘골든 타임’이다. 특히 복강 외부로 암이 원격 전이된 4기 환자, 수술이 불가능했거나 암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경우, 복수 증상을 보이는 재발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는 생존율 개선을 입증한 표적치료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절실하다. 그럼에도 현재 1차 치료에서 유일하게 쓸 수 있는 표적치료제는 건강보험 급여 인정이 안 되고 있어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환자에게 처방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유럽과 호주 등 해외 20여 개 국가에서는 이미 표적치료제에 보험이 적용돼 1차 치료의 표준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재발 이후의 극히 일부 환자에게만 표적치료제 사용을 지원한다.

의료진은 경제적 부담 때문에 최선의 항암치료를 포기하는 난소암 환자가 없기를 바란다. 난소암 1차 치료에서 표적치료제 사용이 절실한 고위험군은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한다. 정부에서도 이 문제를 행정적으로만 처리할 것이 아니라 왜 의료계와 환자가 한목소리를 내고 있는지, 그 근본적 원인이 무엇인지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배덕수 대한부인종양학회장

[인기기사]

·유니베라, 중국 유아 화장품 시장 진출 시동 [2016/06/30] 
·바이오시밀러, 임상현장에서 효과는 어느 정도? [2016/06/30] 
·임상시험에 IT 기술 도입 … 신약 개발·출시 빨라진다 [2016/06/30] 
·경기 동남부 대형 응급재난 ‘걱정 無’ [2016/06/30] 
·암 치료 패러다임 면역항암제, 선별기준 마련 시급 [2016/06/30] 

중앙일보헬스미디어 webmaster@jhealthmedia.com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