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련 집단 휴원 투쟁 이틀째…'축소 운영' 어린이집, 8.9%로 전날보다 줄어

중앙일보

입력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한민련)가 24일 맞춤형 보육 시행에 반대하는 집단 휴원을 이틀째 이어갔지만 참여율이 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집계에 따르면 24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문을 닫고 완전 휴원에 나선 어린이집은 없었다. 자율 등원 형태로 운영중인 어린이집만 전체 4만1441곳 중 8.9%(3670곳)였다. 자율 등원은 학부모들에게 가정 보육을 하도록 양해를 구하는 일종의 ‘축소 운영’이다. 전날 자율 등원에 나선 어린이집 비율이 11.7%(4867곳)였던 것과 비교하면 낮아진 수치다.

0~2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정부의 맞춤형 보육 시행은 다음달 1일 예정이다. 약 1만4000여 어린이집이 소속된 한민련이 이에 반발해 23~24일 양일간 집단 휴원을 예고하면서 보육대란이 우려됐지만 실제 현장의 참여는 저조했다. 정진엽 복지부 장관이 엄정 대처 원칙을 강조하는 등 정부의 강경책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최대 어린이집 단체인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가 휴원에 동참하지 않았고 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이 유보 결정을 내린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보육대란의 불씨는 남아 있는 상태다. 맞춤형 보육 시행을 위한 종일반·맞춤반 집중신청기간이 24일로 끝나기 때문이다. 종일반과 맞춤반의 비율은 26~27일쯤 최종 확인될 전망이다. 정부와 어린이집 모두 해당 비율이 어떻게 나올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종일반 보육료는 지난해 대비 6% 인상되는데 맞춤반은 종일반보다 보육 시간이 절반으로 줄고 보육료 지원도 20% 줄어든다. 이 때문에 정부는 종일반과 맞춤반 비율을 8대2 정도로 예측하고 ”제도가 시행되더라도 어린이집 수익은 늘어난다“고 강조해왔다. 반면 어린이집 단체들은 맞춤반 비율이 높게 나오면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게 될 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26~27일쯤 맞춤반 비율이 정부 예측보다 높게 나오면 다자녀 기준을 세자녀에서 두자녀로 확대하거나 보육시설에 바로 지급하는 기본보육료 금액이 조정되는 등 추가 대책이 나올 수 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