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아픈 내 턱·머리가 '이갈이' 때문이라고?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턱관절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턱관절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는 2010년 25만명에서 2015년 35만명으로 40.5%가 증가했다.

특히 2015년 턱관절장애 환자 중 10대가 5만9000명(17.1%), 20대가 9만3000명(26.9%)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런데 턱관절통증의 주 원인으로 '이갈이'가 지목되고 있다. 이갈이는 잠 잘 때나 평소 무의식적으로 이를 갈거나 꽉 깨무는 행위를 말한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황진혁 교수(치과)는 “턱관절통증이나 두통으로 병원을 방문했다가 이갈이로 진단 받는 환자가 많아지고 있다”며 “이갈이 환자의 66~84%가 안면부위 통증을 함께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턱관절통증이 있는 경우 이갈이가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나도 모르게 하는 버릇이 통증의 주범이라는 얘기다.

이갈이는 전체 인구의 약 8% 정도가 겪는 것으로 보고된다. 일반적으로 유소년기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11살 미만의 아동 중 이갈이를 하는 아동이 40%나 된다. 특히 수면이갈이는 18~25세의 사람들 중 15%가 앓고 있는 흔한 질환이다.

치아마모·턱관절장애·두통 유발

이갈이를 심각하게 봐야 하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로 치아가 마모될 수 있다. 사람의 치아는 수직적인 하중에는 강해도 수평적인 하중에는 약하다. 이갈이를 하면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마모된다.

둘째로 턱관절에 무리가 올 수 있다. 밤새도록 이를 갈면 턱관절이 상하게 되고 통증을 동반하게 된다.

셋째로 이갈이가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턱을 움직이는 근육 중 머리와 가까운 교근(Masseter Muscle)과 측두근(Temporalis Muscle)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두통이 나타나게 된다.

황 교수는 “이갈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이갈이가 주로 수면 중에 발생하기 때문에 인지하기가 쉽지 않다”며 “치료를 장기간 미루면 심한 경우 입이 안 벌어져 턱관절수술을 받아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갈이는 음식물을 씹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보통 음식물을 씹을 때보다 2~10배 이상의 강한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치아 표면은 물론 잇몸과의 경계인 치경부의 마모와 치아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치아파절이 발생할 수 있다. 임플란트도 이갈이 힘에는 잘 견디지 못해 손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장기간 이갈이를 하면 사각턱 등의 외모변화도 나타날 수 있다.

이갈이 발견 어려워…의심되면 바로 진단 받아야

이갈이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치아의 마모상태, 턱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근전도검사 등 종합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수면다원화검사는 수면 시 뇌파,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사해 이갈이를 진단한다. 또 전체 치아를 덮는 교합안전장치를 착용한 뒤 잠을 자면 이갈이를 한 경우 장치에 표시가 나타나 이갈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상에서 이갈이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으로는 귀 앞쪽이 뻐근하거나 소리가 나는 경우, 턱관절에 뭉쳐 있는 느낌이 있고 입을 벌릴 때 무거운 느낌이 있는 경우, 원인 모를 치통이나 두통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또 이를 악물게 되면 혀나 뺨에 물결 모양의 주름이 생기는데 이 역시 이갈이를 의심해 볼 수 있다.

황진혁 교수는 “수면 이갈이는 부부 간에도 인식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갈이가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에서 전문적인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오피드백 등 다양한 예방·치료법 나와

이갈이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일상의 스트레스가 이갈이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갈이 치료는 이갈이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증상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목표를 둔다. 먼저 교합안정장치는 이갈이로 인한 치아의 손상을 막아주고 이갈이 유무를 측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함으로써 이갈이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 치아와 치아 주변 조직, 근육, 턱관절 등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 이갈이 증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단, 교합안정장치는 잘 맞지 않는 상태에서 장기간 장착하게 되면 치열이 변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최소 1~3개월 간격으로 정기적인 점검을 받으면서 장착해야 한다.

또 저작근에 보툴리늄독소를 주사해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줄여주는 치료도 있다. 이악물기나 이갈이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또 물리치료를 통해 턱근육을 풀어주고 도수치료를 통해 턱관절을 회복시켜주기도 한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이갈이 치료법은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치료다. 바이오피드백은 어느 정도 이상으로 근육이 활성화되면 전기 자극 등의 신호를 통해 근육의 활성화를 멈춰 이갈이를 방지하는 장치다.

황 교수는 "이갈이는 바이오피드백, 보툴리늄 독소 주사 등 다양한 치료법이 있다"며 "이갈이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를 줄이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양귀비가 썼다는 가지팩…새 여드름 치료제 힌트 [2016/06/22] 
·5세대 유방 보형물, 자연스러움 살리고 부작용 줄여 [2016/06/22] 
·40대 男 직장인 68% "업무가 가장 큰 스트레스 원인" [2016/06/22] 
·전통 한약 온백원, 대장암 전이 막아 [2016/06/22] 
·“선천성 결손치, 아동기에 조기 검진으로 예방해야” [2016/06/22]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