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과 야당총재의 대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15일 열린 전두환대통령과 이민우신민당총재의 회담은 학원법제정을 둘러싸고긴장감이 고조되던 정국에 하나의 돌파구를 마련해 주었다.
『여야간에 시간을 갖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자』 는 선에서 공동의 인서을 찾은것이 갖는 의미는 매우 심대하다.
비록 눈에띄는 성과는 아니라해도 그로써 경새정국에 숨통을 터줄 가능성은 크다.
그동안 정부 여당은 학원법의 9월전 처리를 목표로 카운트 다운에 들어간것같은 인상을 보여주었고 신민당또한 어떠한 희생을 무릅쓰고라도 저지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아왔다.
이러한 대치상태가 계속될 경우우리의 정치가 파국을 맞고 만다는것은 누구나 우려해온 바다.
이번 청와대회담의 성과는 무엇보다 그와같은 파국은 막아야한다는 점에서 전대통령과 이총재의 인식이 같았다는 점일것이다.
물론 현재로서는 정부·여당이 학원법의 강행돌파 방침에 어떤 변화나 신축성이 엿보이는 징후는 없다.
한편으로는 대학 총·학장회의나 민정당의 공청회등을 통해 법제정의필요성을 고창하는 캠페인은 계속되는 상황이다.
이런 저런 사정으로 미루어 단한번의 대좌에서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결론이 날지도 모른다고 여겼다면 지나치게 성급한 일이겠지만 『파국은 막아야한다』 는 공동인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갈 자세가 되어있다면 앞으로 있을 대화와 타협에 기대를 걸어도 좋을법하다.
지금의 여야는 정권적 차원에서의 이견은 있을지언정 국가적 차원에서는 동맹관계에도 설수있는 성격을지니고있다.
학원법이 정부·여당의 말대로 정당적·정권적 차원이 아니고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하다면 여야가 대화를 못할 이유가 없다고 누누이 지적한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다.
원노정치인들의 중재와 조정기능마저 기대하기 어려운 우리의 정치풍토에서 파국을 막는 유일한 길은 책임있는 정치인간의 허심탄회한 대화에 의존할수밖에 없는 일이다.
그런뜻에서 전대통령과 이총재의이번 회담은 대화정치의 또하나의 패턴을 보여준것으로 평가 되어야할것이다.
특히 전대통령이 야당수뇌들과 일련의 접촉을 갖고 발등의 학원법을 비롯해서 민주화일정, 개헌문제, 사면·복권, 광주사태에 이르기까지평소 야당측이 하고싶었던 얘기,하고자 하는 얘기를 낱낱이 경청하는 모습은 흐뭇한 정경이 었다.
원래 대화란 쌍방통행적인것이지 일방통행적인것은 아니다.
자기소신이나 주장을 당당히 펴되 상대방의 입장을 진지하게 듣고 납득되는것은 받아들인다는 자세가 매우증요하다.
더우기 이번 청와대회담처럼 대화내용이 심도가 있고 국민생활과 직결되는 것일수록 국민의 정치에 대한 신뢰가 높아진다는 효과도 거둘수가 있는 것이다.
한번의 만남으로 그 많은 문제가해결의 실마리를 찾을수 있다고는아무도 바라지않는다.
다만 만남이라는것이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넓혀 문제를 푸는 바탕을 마련해준다는 점을 이번 회담은 확고하게 증명했다고 믿고싶다.
따라서 우리는 여야간의 수뇌가만나 국정에 관해 기탄없는 의견교환을 할 기회가 자주 있기를 바란다.
국가적 차원에서 보면 여야관계란 적대관계가 아니고 상호 보완관계일수 밖에 없는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보다 큰 테두리에서 나라의 장래를 의논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오늘의 정치인들이 당연히 해야할 책무이기도 한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