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당 학원대책위 발언 (요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정당의 학원대책특위는 26일 김찬재 문교차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2학기 학원대책을 논의했다.
다음은 발언요지-.
▲이춘구 위원=전국적으로 선도대상인 문제학생은 몇 명이나 되는가. 학생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것이 아니라 문제학생을 정확히 파악, 집중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영일 위원=지도 단속에만 치중할게 아니라 강 (채찍)과 온(설탕)을 조화시켜야한다. 장기저리대여장학금(1천억원) 에 10.5%의 이자를 물리고있는데 학생이 훌륭한 실적 등을 남길 경우 그 일부 또는 전부를 탕감해주는 서독의 예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홍우준 위원=지난 국회에서 학생들의 용공성여부에 관해 솔직한 발표가 없었다. 근본적인 책임은 학생들보다 교수들에게 있다. 교수들의 학생들에 대한 사상지도가 우선되어야 한다.
현실을 비판하는 교수는 유능하고 현실을 인정하면 무능한 것으로 낙인찍히는 풍토가 문제다.
▲유흥수 위원=자생적인 용공분자들은 침투간첩보다 더 무서운 존재들이다.
그것은 북에서 온 공산주의자는 전향가능성이나 있지만 자생용공분자는 그렇지도 않기 때문이다.
국민들에게 그들이 공산주의자라는 것을 인식 시켜야한다.
▲안영화 위원=자율화를 계속한다는데 그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선량한 다수 학생의 보호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삼민투위관련학생들이 이적행위를 했음을 다른 학생들에게 확실히 알려야한다.
국가재정이 어렵더라도 장학금에 대한 10.5%이자는 재고돼야 한다. 4∼5%정도면 좋다.
▲김형효 위원=당의 운명을 건 학원정책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돈 없고 배고픈 학생만이 아니라 부유층자제도 반정부행위를 자행하고 있다.
교육개혁 심의회에도 우리가 참여해 정치적으로 풀어가야 한다.
문교부에 학원문제를 뒤집어씌우는 것은 3t트럭치의 물건을 소에게 끌고 가라는 식이다.
▲이대순 위원=대학 교양교육의 개혁을 위해 연구위가 구성되어야 한다.
사상교육에 대해 전면적인 개편이 필요하다. 젊은 세대의 사상문제를 물리적으로 대처할 수는 없다. 특수기관을 설치, 학문적 차원에서 이론을 전개해야한다.
▲권영우 위원=대학 신문의 내용에 문제가 많다. 대학생의료시혜확대는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조남조 위원=정확한 원인분석은 물론 정치적인 판단도 내려져야 한다.
▲이민섭 위원=정부의 학원정책은 국민의 합의기반 바탕위에서 정착되어야 한다.
▲김찬재 문교차관=삼민투위관련 학생들의 학사처리가 기본적인 것은 사실이다. 서울대의 경우등 각 대학의 학사처리는 정부의 뜻을 외면했다. 총장들이 처리토록 하고있지만 유감스럽다.
학생들의 범법행위는 사직당국이 수사내용을 그대로 믿어야한다. 정확한 선도 대상 학생수는 확실치 않다. 무한정자율화는 방종이며 일정규범내에서 이루어져야한다.
일부대학이 정부의 간섭을 무조건 배제해 마찰이 일고있는데 이는 잘못 인식됐기 때문이다. 운동권학생과 면학학생들의 분리가 잘 되어가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