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75% “자녀 결혼자금 부담됐다”…평균 1억2506만원 지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최근 5년간 한국 부모들은 자녀 결혼자금 지원에 평균 1억2506만원(평균 자녀수 2.2명 기준)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노후자금의 55% 정도를 소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12일 ‘자녀의 결혼, 부모의 노후’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 이내 자녀가 결혼한 부모세대의 거의 모두(97%)가 자녀 결혼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소개했다. 이번 조사는 150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자녀 결혼비용에 지원한 금액(1억2506만원)은 부모가 모은 노후 자금의 55%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분석됐다. 자녀 결혼에 노후자금을 절반 이상을 소진해 자녀가 모두 결혼한 부모의 75%는 ‘자녀 결혼자금 지원으로 노후 생활에 무리가 간다’고 답했다.

자녀 1인당 평균 결혼자금 지원 금액은 아들은 9400만원, 딸은 4200만원으로 아들에게 결혼자금을 더 많이 썼다.

자녀의 결혼자금 지원을 위해 대부분 예적금(93%, 이후 복수응답 포함)을 이용했다. 퇴직금 활용(11%), 개인연금ㆍ보험 해약(5%), 거주주택 처분(5%)이 뒤를 이었다.

부모의 12%는 자녀 결혼자금 지원을 위해 빚을 냈고, 미혼자녀를 둔 부모의 23%도 ‘필요하다면 빚을 내서라도 자녀 결혼자금을 도와줄 것’이라고 응답했다.

부모들은 결혼을 ‘신랑ㆍ신부 두 사람보다는 집안간 혼사’로 보는 비중이 67%에 달했다. 이 때문에 ‘자녀의 결혼은 부모가 치러야 할 숙제’로 보는 비중이 71%를 차지했다.

부모의 자녀 결혼비용 지원에 대해서도 부모 세대는 56%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자녀 세대는 28%만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결혼비용 분담도 ‘신혼집은 신랑, 혼수는 신부가 장만해야 한다’는 답변이 부모 세대는 30%에 달했지만, 자녀 세대는 14%에 불과했다. 오히려 ‘형편이 나은 쪽이 많이 부담’ 하거나 ‘동일하게 부담’ 해야 한다는 비중이 8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예물ㆍ예단 교환도 부모 세대는 30%가 ‘남들만큼 주고받아야 한다’고 답했으나, 자녀 세대는 16%에 불과했다.

윤성은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책임연구원은 “50~60대 부모는 과거에 비해 노후 기간이 2~3배 연장될 것이 예상되는 만큼 자녀 결혼비용 지원 규모에 대해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며 “부모 세대가 자녀 혼사에 대해 남의 눈을 의식하거나 체면을 위한 과시적 소비 등을 배제한다면 자녀 결혼에 지원하는 비용을 줄이고 노후 준비를 더욱 충실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ong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