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407억 들여 안전마을 27곳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아동학대 사건 등으로 곤욕을 치렀던 경기도 부천시가 내년부터 범죄·재해가 없는 안전마을 사업을 하기로 했다. 시민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지역 순찰 요령 등을 교육하는 안전학교도 운영한다.

구도심 범죄·재해 예방, 환경 정비
전문가 참여해 마을별 맞춤 활동

부천시는 3일 이런 내용을 담은 ‘안전마을 지원 조례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조례안은 입법예고 기간을 거쳐 7월쯤 시의회 본회의에 상정돼 처리될 전망이다. 재해예방·범죄예방·생활안전·주거환경 개선 등 4대 안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 조례안은 오는 7월 출범하는 10개 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앞서 부천시는 일반 구(區)를 폐지하고 36개 동(洞)을 10개 권역으로 나눠 행정복지센터로 전환하기로 한 바 있다. 조례안에 따르면 부천시는 내년부터 8년 동안 407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안전마을 사업을 벌일 예정이다. 대상은 신도시인 중·당동을 제외한 구도심 지역 27곳이다.

부천시는 각 마을의 특성을 분석해 벽화 그리기 등 환경 정비나 지역 순찰 강화 등 맞춤형 안전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대규모 예산 사업은 책임동장이 집행하고, 소규모 예산사업이나 자력사업은 시민들이 결정해 추진하도록 하기로 했다. 책임동장은 일반 동주민센터가 담당하던 복지 업무에 구청이 담당하던 환경미화·세무·인허가등록 신고·도로 보수 등을 책임지는 역할로 각 행정복지센터장이 맡는다.

마을별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논의할 ‘안전마을 심의위원회’도 구성된다. 심의위원회는 경찰과 소방, 교육 등 전문가 15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각 행정복지센터별로 안전마을 기본계획을 수립하면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시행 여부를 결정한다. 시민에게 심폐소생술이나 취약지 순찰 요령, 사업 추진에 필요한 기술 등을 교육하는 ‘안전학교’도 운영된다. 안전학교는 행정복지센터 전환으로 사용이 중단된 구 청사나 마을회관 등을 활용한다.

최모란 기자 m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