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정규직 임금자제, 정부 전면전 돌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정부가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을 받는 대기업 임직원의 임금자제를 강하게 압박하기 시작했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이 직접 나섰다. 이 장관은 28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30대 그룹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이 장관은 "근로소득 상위 10% 수준인 연 6800만원 이상 받는 임직원은 임금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임금 액수까지 제시하며 압박하고 나선 것이다. 특히 이 장관은 임원의 임금과 관련, "1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연 1억원 이상 받는 임원에 대해서는 임금인상 자제를 집중 지도하겠다"고 밝혔다. 단순한 권고가 아니라 고용부가 직접 나서 임원들의 임금 수준을 챙기겠다는 얘기다.

특정 업종을 지정해 중점 관리할 방침도 밝혔다. 자동차, 정유, 조선, 금융, 철강과 같은 5대 업종과 공공기관이다. 이들 업종에 대해 이 장관은 "국민총소득(GNI)대비 임금수준이 지나치게 높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모범을 보여야 할 이들 업종에 대해서는 (임금인상 자제) 동참을 강력히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또 "협력업체와 비정규직 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해 상생협력기금, 사내(공동)근로복지기금을 활용하면 세제지원을 하겠다"며 독려했다.

이 장관은 "지금 청년 고용상황은 매우 심각하다"며 "상위 10% 대기업 정규직의 양보를 토대로 청년고용을 늘리고, 대·중소기업 간 격차를 완화하자는 것이 노사정 대타협의 근본정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범을 보여야 할 공공기관과 더불어 사회적 책임이 막중한 30대 그룹 대기업들이 선도적으로 실천해야 현장 확산이 이뤄지고, 청년고용 문제도 해결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기찬 고용노동선임기자 wol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