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후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같은 제재를 다룬 2편의 작품이 시짓기의자세에 따른 시각의 차이를 명료하게 드러내면서 우리에게 큰 일깨움을 던져주고 있다.
송명호의『매화』와 최길 하의 『매』.
앞의 것은 그 대상을 상대적인 거리에 두고 사보적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취한다.
그런 나머지 언어로 소화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직설적인 표현법을 좇고 있다.
흔히 일컫는「즉물적인 시」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뒤의 것은 소재틀 자신의 내면으로 이끌어들임으로써 대상과의 일체감을꾀하려 한다.
비록 자신의 내적 체험을 형상화하기 위해 대상을 능동적으로 선택하는 경지에는 못 이른채로나마 그것을 통해 자신의 「안의 소리」를 충실히 소화해내려는 안간힘만은 뚜렷이 내비치고 있다.
따라서 직설을 피하고 상징·암시·은유따위의 보다 효과적인 표현을 빌어쓰게 된것은 당연한 귀결이라 할것이다.
대상 파악에 얽힌 지혜를 일깨우려다 보니 『매』(최길하)에 대한 지적이 긍정 일변도로 흐른 감이 있지만, 사실은 이 작품에도 결함은 많다.
한개 시조로놓고볼때 초점이 흐릴만큼 응집력이 약한 점이 으뜸몫이려니와, 특히 가락을 짓는 일을겉멋으로 치부하려는양 너무도 손쉽게 다스려고 있음이 못마땅한 것이다.
첫수와 둘째수의초장에서 두드러져 있다.
『산정의 아침』은 꽤참신한 감각으로 다져져 있다.
이 정도의 감각이라면 감성의 깊이를 느낄만한 「아픈소리」한마디큼 길어 올릴법도 하다. 『무덤있길래』는 앞의『산정의 아침』파는 좋은대조를 보인다.
얼핏 실속이 빠진듯한 느낌을주지만, 되씹어 보면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다.
아픔의 소리가 그 바탕을 이루어 있기 때문이다.
이만큼 절절한 목소리가 좀더 세련된 어조를 힘입는다면 오죽이나 좋을까.
『칠순 어머님』은 직정에 실린 소박한 노래다.
처음부터 잔기교에 매달리기보다는 차라리 이런 편이낫다 하겠으나, 직정은 어디까지나 직정일뿐, 그것만으로 시적 감동을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운 노릇임을 깨달아야 하겠다.
박경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