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어제 정오부터 전파교란 중단…완전 중단인지는 지켜봐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달부터 전방지역에 서 남쪽을 향해 위성위치정보시스템(GPS)을 교란하던 북한이 6일부터 방해 전파 송출을 중단했다고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이 7일 말했다. 문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6일 오후 12시부터 방해전파가 잡히 않고 있다"며 "북한이 (교란 전파 송출을) 완전히 중단한 것인지, 잠깐 멈춘 것인지는 조금더 두고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북한은 한미 연합훈련인 키 리졸브 연습과 독수리 훈련을 시작한 지난달 초순부터 전방지역의 해주, 연안(이상 황해남도), 평강, 금강(이상 강원도) 등지에서 GPS 교란을 위한 방해전파를 쏴 왔다. 최근엔 개성 인근에서도 방해전파 송출 신호가 잡힌 것으로 파악됐다. 이로 인해 서해와 동해상에서 조업하던 어선들이 불편을 겪었다. 그러나 문 대변인은 "군의 피해 상황은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북 소행 추정 GPS 전파 혼란…휴대폰·내비 영향 없을 듯



한편, 북한이 최근 개발중인 고래급 잠수함이 동해 신포항에서 움직임이 포착돼 군 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 전하규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북한의 군사적 움직임에 대해 일일이 설명할 수는 없지만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구글 어스 등 상업위성에 잡힌 사진분석결과 신포항에 정박중인 고래급 잠수함의 함수와 함미의 위치가 바뀐 모습이 포착되고 있어 수시로 항해를 하거나 발사 실험 준비를 하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기사 이미지

지난해 12월 26일 촬영한 사진에는 잠수함의 함미(프로펠러가 있는쪽)가 남서쪽 방향으로 돼 있다. [사진 구글어스]

기사 이미지

1월 13일 촬영한 위성사진에 잠수함의 함수(앞쪽)이 남서쪽 방향으로 돼 있다. [사진 구글어스]

특히 이 잠수함이 6일 출항했다는 첩보도 있다. 2000t급인 고래급 잠수함은 수직발사관을 장착해 수중에서 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 개발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한미 정보당국은 보고 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