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학습부담과중 "교육정상화"맞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교육과정개편에 따라 조정돼야할 대학학력고사과목및 과목별 배점결정이 진통을 거듭하고 있는것은 축소론과 확대론이 한치의 양보도 없이 팽팽히 맞서있기 때문이다.
84학년도부터 고교교육과정이 전면개편됐고 이에따라 87학년도대학입시수험생은 새로운 고사과목으로 응시해야한다. 문교부는 이에대비, 고사과목을 전면조정하려 했으나 축소-확대양론이 맞선데다 87학년도부터 대학입시제도자체를 전면재검토해야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돼 1차시한인 84년말을 넘기고 2차인 85년2월말을 또 넘긴채 교육개혁심의회에 맡겨야할 입장이됐다.
축소론은 응시자의 학습부담과중과 대학수학불필요과목제외를 근거로 하고있는 반면 확대론은 과목수와 학습부담이 무관할뿐아니라 과목을줄이게되면 고교교육과정정상화는 기대할수 없고 심지어 학교가 「영·수학관」 화할 우려마저 있다는 주장이다. 이와함께 교육개혁심의회가 대학입시제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경우 학력고사의 비중이 낮아지게되면 학습부담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다만 현재 문-이계로만 나눠져있는 응시계열을 문-이-예체능계열로 나눠야 한다는데는 대체로 동의하고 있는것같다.
87학년도이후 대학입시수험생들의 학력고사과목조정이 시급한 것은 이들이 고교에 입학하면서 사회 및 과학과과목이 기초과정(I)과 심화과정으로 나뉘어져 인문계도 과학의 물리.화학.생물.지학등 4과목 기초과정을 필수로 이수해야하고, 자연계는 사회I과 지리,I.세계사중1과목을 필수선택해야
이를 근거로 86학년도의 가목부과원칙에 따르면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을 별개과목으로 볼 때 인문계는 19과목(체력장포함),자연계는 20과목(체력장포함)이 된다.

<축소론>
수험생과 학부모, 고교교장측에서 주장하고 있다. 86학년도의 경우 제2외국어가 추가돼 16 (자연계) ∼17「(인문계)과목의 시험을 치르게되고 대학별 논술고사까지 있어 수험생에 대한 부담이 과중하다는 것이다.
반드시 과목과다때문만은아니지만 과목이 많아지면 자연히 출제는 곁핥기에 그치게되고 단순지식이외의 고등 정신기능평가는 불가능 해진다. 더욱이 대학진학후 수학조건으로 필요없는 과목까지 준비해야하기 때문에 적성교육이 되지않고 있다.
따라서 인문계는 과학4과목, 자연계는 사회2과목을 고사과목에서 제외, 기술.실업 및 체력장도 모두 내신성적만 반영토록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인문계나 자연계 및 예체능계수험생이 대학진학후 수학에 관계가 거의 없는 과목을 제외토록해 10과목안팎이 되게 해야한다.
더우기 전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유독 대학입시에서만 보통교육에서 부과한 전과목올 치르도록 하는 것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낭비다. 어차피 대학진학을목표로 하는 수험생들은 학력고사에서 좋은 점수를 얻는데만 신경을 쓰게되고 일선고교도 교육과정을 그런 방향으로만 운영하고 있다.
특히 대학입시준비를 집중적으로 해야하는 3학년때 20여개과목을 한꺼번에 공부해야하는 수험생의 부담은 현재상황만으로도 짐작하고 남음이 있다. 1개월이 채못되는 기간으로 1과목씩을 끝내야하는 수험생들은 그래서 3학년이 되면 교육과정의 정신이나 학교의 방침을 받아들일 여유가 없는 현실이다.

<확대론>
일선고교교사와 교육과정전문가들의 주장.
대학입학학력고사는 현행제도대로라면 입학전형총점의50%이상이 반영되는 절대적 비중을 갖고있고 이에 제외되는 과목이 고교에서 정상운영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46년이후 40년간 이같은 이유때문에 대학입시과목은 몇번의 변천과정을 겪으면서 계속 늘어왔다. 올해만해도 인문계의 경우 과학 (물리·화학· 생물· 지학) 중 1과목선택이 2과목선택으로 늘어났었고 86학년도는 제2외국어가 또 추가된다.
교육과정으로는 과학2과목이상, 그리고 영어외에 제2외국어1과목을 반드시 선택토록 하고있으나 학력고사과목에 이를 반영하지 않자 영어대신 일어만 가르치는 학교가 있고 과학도 비교적 득점에 유리한 l과목외에는 수업하지 않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교육과정은 각급학교의 해당 단계에서 교육에 필요한 과정을 정한 법령사항이다.
고교교육단계에서 필요한 과정을 정했으면 그 과정이 정상운영되도록 모든 제도는 짜여져야한다.
고사과목은 영어.수학.국어로만 했을 때 비판을 받았던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그때 보았듯이 과목수를 줄인다고 학습부담이 줄어드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다만 교육과정 시간배정에 맞춰 비중을 달리하면 될 뿐이다.

<절충론>
양측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 교육계에서는 절충론도 대두되고 있다. 적격자 선발기능을 다하면서 학습부담을 줄이고 교육과정의 정상운영을 파괴하지 않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지필검사로 능력을 평가하기에 무리가 있는 국민윤리나 기술(가정) · 실업등을 음악· 미술등과 같이 내신에 반영하고 그대신 사회및 과학의 기초과정(I)은반드시 치르도록하되 예체능계는 실기시험부담을 감안, 그에 상응하는 과목부담을 줄여주어야한다.
또 계열별로 대학에따라 학력고사의 과목별성적을 차등적용하고 학력고사문제의 난이도를 학습부담이 가버워지게 하면된다.<권순용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