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 GPS 교란 중단 않으면 대가 치를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가 1일 북한의 인공위성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교란 전파 발사를 도발로 규정하고 즉각적인 중단을 요구했다. 청와대는 이날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했다. 정연국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무모한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유엔사 정전위도 즉각 중단 촉구
북 또 미사일 발사, 올들어 6번째

국방부는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도 오늘(1일) 오후 7시55분쯤 북한에 GPS 교란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판문점에서 북측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앞서 국방부는 성명을 내고 “북한이 군사분계선(MDL) 북방의 해주·연안(이상 황해도), 평강·금강(이상 강원도) 등 4개 지역에서 GPS 전파를 교란하고 있다”며 “정전협정 등을 위반한 도발을 중단하지 않으면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한·미 연합훈련 기간 다양한 도발을 예상했고 GPS 교란도 그중 하나”라고 말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교란 장비 10여 종을 개발해 보유 중이며 전파 교란 거리는 100여㎞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관련기사 북 소행 추정 GPS 전파 혼란…휴대폰·내비 영향 없을 듯



현재까지 상용 GPS를 탑재한 소형 어선 280여 척이 조업을 중단하는 등의 피해를 봤다. 하지만 북한이 출력을 더 높일 경우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군은 GPS 전파 교란 대응반을 운영하며 최근 개발한 역전파 방해 전파(항재밍)로 맞대응하고 있다. 한편 북한은 이날 낮 12시45분쯤 함경남도 선덕 인근에서 지대공 미사일 한 발을 발사했다. 올 들어 여섯 번째(광명성 4호 제외)로 선덕 지역에서의 발사는 처음이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