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대병원, 코 상피조직검사로 치매조기진단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치래를 치매전단계(경도인지장애)부터 정확하게 알아내는 진단법이 개발됐다. 이로써 적절한 치료는 물론 환자에게도 미래를 대비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주건·김만호 교수팀은 코 상피세포 내 마이크로RNA-206 (mir-206)의 발현양으로 치매를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8일 발표했다.

치매전단계부터 진단할 수 있고, 우울증으로 인한 기억력 감퇴와 구별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006~2014년, 우리나라에서 치매로 치료받은 환자는 67만6000명에 달한다. 매년 급증하는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치료약이 없고 증상을 일부 완화시키는 약물치료가 전부다.

치매는 한 번 발현하면 치료가 불가능하고 증상 진행을 늦추는 치료만 시도할 수 있다. 때문에 치매전단계에서 조기에 발견하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기억력이 떨어져가는 치매전단계를 확실히 감별하는 것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했다.

또한 치매와는 다르지만 우울증과 같은 기분장애나 만성스트레스에 의한 주의집중력 저하도 치매전단계 환자처럼 기억력이 떨어져, 이를 정확히 구분하는 게 힘들었다.

이와 관련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 초기에 제일 먼저 나타나는 증상이 냄새를 구별 못하는 것이란 점에 착안했다.

냄새를 뇌로 전달하는 후각신경계에 병리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후각신경말단이 있는 상피조직을 떼어내 정량 PCR(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마이크로RNA-206의 발현양을 검사했다.

대상은 건강자원자, 우울증환자, 치매전단계, 치매환자 등 4개 그룹이었다. 치매전단계는 정상인에 비해 7.8배, 치매 환자들은 41.5배의 mir-206 발현양을 보였다.

반면, 우울증 환자들은 기억력이 저하되어 있음에도 mir-206 발현양은 정상인과 같게 나와 치매와는 뚜렷하게 구별됐다.

주건 교수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치매검진에 드는 엄청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며 “기억력이 떨어지는 환자들도 본인이 치매로 진행될 것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도와준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발명한 치매약물인 ‘mir-206 억제제’를 치매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상시험을 계획 중이다.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내벤처기업인 ㈜어드밴스드엔티와 함께 진행됐으며, 최근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발표됐다.

[인기기사]

·봄철 야외 활동에 필요한 건강기능식품은? [2016/03/07] 
·[신간 소개]어린이에게 힘과 용기를 선물해 주세요. 우리 얼 그림책 ‘노도새’ 출간 [2016/03/07] 
·본격 황사철 ‘창문 닫으면 우리 집은 안전?’ [2016/03/07] 
·가상현실 이용한 재활치료 효과 입증 [2016/03/07] 
·성인 10명 중 9명 “심부전이 뭐야?” [2016/03/07] 

김진구 기자 luckybomb85@gmail.com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