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금융 졸업한 아일랜드도 집권당 재집권 실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아일랜드 집권당이 구제금융의 '성공적 졸업'에도 재집권에 실패할 가능성이 커졌다. 포르투갈·스페인에 이어 27일(현지시간) 치러진 아일랜드 총선에서도 절대 다수당이 없는 '헝(hung) 의회'란 결과가 나왔다.

28일 오후 2시 현재 158개 의석 중 109개 의석의 당선자가 가려진 가운데 집권 연정인 통일아일랜드(Fine Gale)당과 노동당은 각각 34석과 4석을 확보했다. 반면 야당인 공화당은 32석, 좌파인 신페인당이 14석을 차지했다. 현 추세론 집권 연정이 과반(80석)을 차지할 가능성은 낮다. 엔다 케니 아일랜드 총리도 이날 기자들에게 “통일아일랜드당과 노동당은 재집권할 수 없을 것”이라며 사실상 패배를 인정했다.

아일랜드는 이양식(移讓式) 투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유권자들이 지역구 출마자들을 두고 1·2·3위 등의 선호도를 매기는 방식이다. 개표 때 후보별 1위 표를 셌는데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최저 득표자를 탈락시키고 그의 표를 선호도에 따라 남은 후보자들에게 배분한다. 과반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해 당선자를 정한다. 개표에만 수일이 걸리는 이유다.

집권 연정은 1위 선호 투표에서도 밀렸다. 통일아일랜드와 노동당이 25.5%, 6.6%인데 비해 공화당은 24.4%, 신페인당은 13.9%였다.

아일랜드는 구제금융을 받은 국가 중 모범 사례였다. 2013년 말 졸업했고 2014년과 지난해 각각 5.2%와 6.5%의 경제 성장을 기록했다. 그러나 민심은 집권 연정에 유보적이었다. 지난해 말 총선을 치른 포르투갈·스페인과 유사하다. 집권당이 1위를 차지했으나 과반에 턱 없이 못 미쳤다. 포르투갈에선 2당인 사회당이 좌파 연정 형태로 집권했으나, 스페인에선 총선 두 달이 지나도록 정부를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

아일랜드에서도 정부 구성 과정에서 진통을 겪을 수 있다. 1·2당인 통일아일랜드당과 공화당이 대연정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대해 공화당 마이클 마틴 대표는 “의석수가 아니라 이슈와 정책들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여지를 뒀다. 두 당은 1921년 아일랜드 독립 이래 정권을 공유한 적이 없다.

런던=고정애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