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활동이 잦은 경우엔 옷핀으로 고름 고정을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65호 7 면

한복은 풍성한 형태감과 곡선의 실루엣, 깃이나 도련, 배래(한복 소매 아래쪽에 물고기의 배처럼 불룩하게 둥글린 부분)에 표현된 곡선 등의 특징으로 우아하면서 여유로운 자태를 풍기는 품격 있는 옷이다. 한복의 아름다운 실루엣은 예를 중시해 버선을 시작으로 하는 내의를 잘 갖추어 입었기 때문이다. 현대 생활 속에서 전통의 방식처럼 모두 갖춰 입긴 어렵지만 전통 한복을 입을 때는 이것만은 꼭 챙겨서 입어보자.


우리 옷은 기본 옷으로 상의·하의 이부식 착용에 그에 맞는 포와 관모·신발을 착용하고 장신구로 맵시를 더한다. 먼저 여자의 옷은 상의는 잘 맞고, 하의는 풍성하게 입는 실루엣이 궁극의 미를 보여준다. 제대로 입는다면 안의 속옷만 서너 가지를 입는다. 추운 겨울이라면 누비 두루마기나 솜 두루마기를 입고 조바위나 풍차를 머리에 써 추위를 막기도 한다. 치맛자락이 끌려 불편하다면 뒷자락을 살짝 잡고 돌려 잡거나, 허리끈에 고정하면 끌리지 않고 발에 채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옷고름은 원래 삼국시대의 허리에 매던 띠가 조선 초에는 옷의 여밈이 깊어지면서 짧고 폭이 좁은 고름이, 근대화를 지나면서는 저고리의 여밈에 작아지면서 폭이 넓고 큰 고름의 형태로 변화했다. 하지만 현대에는 이런 고름이 한복의 가장 중요한 디테일이 되면서 장식적인 요소가 됐다. 보통 고름은 매었을 때 두 고름의 양끝이 비슷하게 매어 떨어지도록 한쪽을 좀더 길게 만든다. 긴 고름, 짧은 고름을 달아 긴 쪽으로 고(리본)를 만들어 나머지 짧은 쪽으로는 매듭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실크류의 한복 원단이 부드러워 고름이 잘 풀어지는 경우가 있어 활동이 잦은 경우 고름의 고나 매듭 부분을 옷핀으로 고정해 입으면 풀리지 않고 잘 고정된다. 고름을 매만지는 모습은 여성 한복의 미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이미지다.


남자의 옷은 예를 중시하고 품위를 보여준다. 바지와 저고리는 2000년 우리 역사를 보여주는 원형의 기본 아이템이다. 바지저고리는 실내에서도 손님이 오거나 외부 행사가 있다면 저고리 위에 배자·답호·마고자·두루마기·도포 등을 상황에 맞게 입는 것이 원칙이다. 남자들이 한복 바지를 입고 불편한 것은 제대로 입지 않기 때문이다. 요즘은 허리끈을 고정한 한복이 많고, 발목의 대님도 매듭단추로 대체된 것이 많다. 허리는 여유로 남는 부분을 왼쪽으로 돌려 끈으로 고정하고 한 번 접어 고정하면 잘 흘러내리지 않는다. 신발은 구두를 신어도 무방하나 바지와 구두 색을 고려한 양말을 신을 것을 권장한다.


한복을 입고 가장 무난한 자세는 공수 자세이다.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놓고 손을 가지런히 배 위에 모으는 자세가 가장 좋다.


아무리 좋은 옷도 입어서 느껴보지 못한다면 의미가 없지 않나. 한복은 입는 순간 어떠한 기운과 정신이 스며들어 행동이 경건하게 되고 마음가짐도 다잡게 되는 옷이다. 전통 한복이 부담스럽다면 패션미가 가미돼 요즘의 옷과도 편하게 매칭해 입을 수 있는 신 한복을 먼저 도전해보자. 그다음번엔 전통 한복을 입고 싶게 될 것이다.


최정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