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드, 한국 안보와 국방에 도움될 것"

중앙일보

입력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를 주한미군이 한반도에 배치하는 문제와 관련해 국방부 당국자는 "한국의 안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28일 "우리 정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모든 방안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미국 정부 안에서 주한미군의 사드배치와 관련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우리도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 등 기술적 사항에 대해 실무적 차원에서 내용을 파악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다음주에 한국과 미국의 사드 배치 협상 결과가 발표될 것이란 외신 보도와 관련해선 "들은바 없다"고 부인했다.

앞서 미국의 월 스트리트 저널은 28일(현지시간) "미국과 한국 정부 당국자간 막후에서 거의 협상이 타결됐다"며 "다음주에 협상 결과가 발표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처음 듣는 이야기"라며 "아직까지 미국 내에서 결정되지도, 협상을 요청하지도, 결론을 내리지도 앖았다는 3No입장은 유효하다"고 했다. 2014년 사드 배치 문제가 불거진 이후 미국 국방부 내에서 논의를 진행중이지만 아직 끝나지 않았고, 한국 정부에 협의를 요청하지도 않았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당국자는 "비공개적으로 없었냐"는 질문엔 "공식적으로 그런게 없었다"며 비공식적 논의는 진행된 사실을 시인했다.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사드 배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13일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 “안보와 국익을 기준으로 검토하겠다”는 언급에 이어 한민구 국방부 장관도 최근 언론에 나와 이같은 뜻을 밝혔다.

이에 따라 공식적인 협상이 없었다는 정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북한 핵실험을 계기로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선 이미 사드 2개 포대를 대구와 칠곡 지역에 배치하기로 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