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케리 美 국무장관 방중…오늘 양제츠, 왕이와 대북제재 담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사진=국무부 홈페이지 동영상]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26일 중국 방문길에 올랐다. 4차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에 대한 제재 방안을 놓고 중국과 담판을 짓기 위해서다.

케리 장관은 27일 오전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양제츠 외교담당 국무위원 및 왕이(王毅) 외교부장 등과 차례로 회담한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의 접견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 외교가에선 케리의 방중이 대북 제재의 강도를 결정짓는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케리 장관은 대북 원유 수출 금지 등 강도 높은 제재 조치를 담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초안에 대해 중국의 동의를 받아내는 걸 일차 목표로 삼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도통신을 비롯한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안보리 제재안 초안에는 원유 수출 금지 이외에 ▶북한의 광물 수입 금지 ▶북한 국적기의 제3국 영공 통과 금지 등 기존 결의안보다 훨씬 강도 높은 내용이 담겨 있다.

베이징의 한 외교 소식통은 “만약 중국이 안보리 제재안에 동의하지 않거나 수위를 약화시키려 할 경우 케리 장관은 미국이 독자적인 제재를 단행할 것이란 점을 내세우며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이 준비중인 독자제재에는 세컨더리 보이콧도 포함되어 있어 중국에도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세컨더리 보이콧’이란 북한과 거래하는 제 3국 정부나 기업, 금융기관 등도 제재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을 말한다.

케리 장관은 중국 도착에 앞서 25일 방문지인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북 공동전선은 확고한 것이 돼야지 헐렁한 것이 돼선 안 된다”며 “판단력이 의문시되는 사람의 손에 있는 것은 무모한 안보 위협이며 이는 중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증명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케리 장관을 통해 미ㆍ중이 접점을 찾고 합의점을 도출해 낼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제재를 하되 북한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는 원유 수출 금지 등에 대해서는 중국이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잇기 때문이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원유 수출 금지 등에 대해서는 북한의 일반 국민들의 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들어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관영매체 중 하나인 환구시보는 "케리 장관의 방중 가운데 북핵 문제보다 더 중요한 현안은 대만 선거 이후의 양안 관계에 대한 논의"라고 보도해 미·중간 현안의 우선 순위에 대해 다른 입장을 드러냈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yyjun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