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중국 리스크 대처에 올 한국 경제 달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중국발 쓰나미가 올해 첫 거래일부터 국내외 금융시장을 강타했다. 어제 중국 증시가 7% 가까이 급락한 영향이다. 개장 직후부터 약세를 면치 못하던 중국 증시는 오후 장 들어 급격히 무너지며 두 시간가량 조기 폐장했다.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등 경제지표가 부진하고 위안화가 약세를 보인 게 하락을 부추겼다. 이 충격으로 한국과 일본·홍콩 등 아시아 주요 증시가 2~3%씩 하락했다. 외환시장에서 달러 강세 현상이 나타나며 원화가치는 달러당 10원 가까이 떨어졌다. 지난해 6월과 8월 전 세계를 뒤흔들던 중국 증시 불안의 악몽이 되살아난 셈이다.

 이번 중국 증시 하락 폭은 지난해 8월 24일(-8.49%)과 25일(-7.63%)보다 작다. 하지만 그땐 주가 급등락을 막기 위한 일시적 거래중단 조치(서킷브레이커)가 없었다. 중국 정부는 올해부터 서킷브레이커를 도입했는데, 첫날인 어제 두 차례나 발동됐다. 이게 아니었다면 하락 폭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을지 모른다.

 이번 급락의 영향과 파장을 가늠하긴 쉽지 않다. 하지만 중국 경제의 앞날에 대해 중국 투자자조차 확신이 없다는 점은 분명해졌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수출과 가공무역 중심의 경제 구조를 내수와 서비스 중심으로 바꾸려는 정책을 본격화했다. 과도한 투자로 공급 과잉에 빠져 있는 철강·조선업을 구조조정하고 기술 개발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높이는 데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세계 경제를 둘러싼 환경은 목표 달성이 녹록지 않음을 예고하고 있다.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세계적인 수요 부진과 교역량 감소는 올해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그 속도가 빨라지면 연 6.5% 성장 목표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론까지 나온다. 미국의 금리 인상도 세계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크다. 원자재값 하락과 달러 강세가 심화되면 자원 수출국들의 경제가 더욱 어려워지고 글로벌 수요가 움츠러들 수 있다. 이는 다시 중국의 수출 감소와 성장률 하락으로 연결될 것이다. 이번 증시 급락도 이런 비관론이 힘을 얻은 탓으로 봐야 한다. 최근 공개된 어록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이 앞으로 5년간 더 많은 도전에 직면할 것이고 경기부양책은 해결책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한 점도 중국 경제의 급속한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게 한다.

 중국 리스크는 올해 한국 경제를 좌우할 가장 큰 변수다. 수출의 4분의 1, 해외 투자의 40%가 중국에서 이뤄진다. 향후 세계 경제의 앞날을 보여주는 창도 중국이다. 물론 중국 증시나 경기를 우리 정부나 기업 뜻대로 할 수도 없다. 하지만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대비하는 것만으로도 만약에 몰려올 쓰나미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과도한 비관이나 낙관에 빠지지 말고 구조 개혁과 산업 재편의 속도를 높여 위기에 대처할 체질을 키워야 한다. 그래야 최악에 대비하면서도 최선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