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life] ‘계승+창조’ 전통문양DB 12만 건 … 국민이 자유롭게 쓰도록 기다립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기사 이미지

선조들이 남긴 문화재와 문화유산은 생성 당시의 삶의 지혜가 담겨 있어 우리 역사와 전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에겐 문화유산을 잘 보존하고 물려줘야 할 의무가 있다.

한국문화정보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정보원(김소연 원장·사진)은 이런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 문화유산 중에서도 전통문양을 데이터베이스(DB)화해 보존하는 한편 대중이 활용할 수 있도록 문양 이미지를 무료로 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DB에 포함된 문양들은 삼국시대 기와에서부터 조선시대 은장도, 관청 문서의 바탕 무늬 등에 보이는 인물문, 지역 향교 대성전 서까래에서 볼 수 있는 연꽃문, 청자상감 물고기문, 꽃 모양의 수덕사 법고각 주련 등이 포함돼 있다. 한국문화정보원은 이처럼 각종 유산과 함께 해왔던 우리 문양들을 보존하고 무료로 개방하며 대중들에게 다가서고 있다.

한국문화정보원은 2005년부터 전통 문양 이미지 DB를 구축해오고 있다. 총 12만여 건의 전통 문양을 담고 있다. 한국문화정보원 김소연 원장은 “전통문양 DB는 ‘전통계승+재창조’라는 의미가 더해져 그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한다. 12만여 건의 전통문양 하나하나가 갖고 있는 의미 속에서 현재에 유익하게 활용될 뿐 아니라 앞으로 보존돼야 할 가치를 지닌 새로운 창조가 피어나길 기대한다”고 피력했다.

전통문양 DB는 문화포털(www.culture.go.kr)의 ‘전통 디자인’ 메뉴에서 무료로 서비스되고 있다. 해마다 새로운 이미지가 제공된다. 문화재 원형에서 추출한 원시자료의 개별 문양에서부터 끊어진 선을 다시 이어 복원하는 등 재가공한 활용 문양까지 다양하다. 3D 프린팅이 우리 일상으로 스며들 것을 대비해 제작한 전통문양 및 문화유산 3D 프린팅 데이터도 포함돼 있다.

기사 이미지

전통문양 DB는 문화포털(www.culture.go.kr) 전통 디자인 메뉴에서 무료 서비스되고 있다. 매해 새 이미지가 제공된다. [사진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은 전통문양 디자인 소스를 다양한 파일형식(GIF·AI·3D·CAD)으로 제공하고 있다. 누구나 손쉽게 편집하거나 가공·디자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실제로 도깨비 문양을 활용한 캐릭터 상품으로 창업한 임동일 씨는 3D 전통문양에서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얻어 이모션북스 사업을 시작했다. 디자이너 목은정 씨는 한복 디자인에 수자문과 태극문을 수놓으면서 한층 더 아름다워진 한복을 뉴욕패션위크에 등장시키며 세계인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전통문양 DB는 우리 전통과 역사의 창조적 가치를 보존함과 동시에 지금의 우리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김소연 원장은 “앞으로도 모든 대중이 우리 전통문양을 더 편리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방식을 늘 고민하면서 다양한 참여형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어 “전통문양이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한 교육적인 활용에서부터 산업 분야까지 폭넓게 활용돼 우리 생활 곳곳에 깊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성원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배은나 객원기자 bae.eunn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