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 ‘안심번호제’ 통과 … 총선 경선 여론조사 때 적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기사 이미지

14일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무성 대표(왼쪽)와 서청원 최고위원이 다른 참석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날 비공개 회의에서 ‘휴대전화 안심번호제’를 내년 총선 경선에 도입키로 했다. [김성룡 기자]

 논란을 빚었던 ‘휴대전화 안심번호제’가 내년 총선 경선용 여론조사에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14일 전체회의를 열어 정당이 일반 유권자의 휴대전화 번호를 가상의 임시 전화번호(안심번호)로 받아 여론조사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새누리 “야당과의 합의 이행”

 개정안에 따르면 정당은 당내 경선인을 모집하거나 여론조사를 하기 위해 선관위 심사를 거쳐 이동통신사(이통사)로부터 안심번호를 받을 수 있다. 현재는 여론조사기관이 휴대전화 사용자의 성별·연령별·지역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하다. 하지만 이통사는 이런 식으로 분류된 자료를 보유하고 있어 이를 활용하면 여론조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통사는 개인정보 노출을 위해 여론조사 대상자에게 본인의 전화번호가 안심번호로 제공된다는 사실과 이를 거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

 안심번호제는 지난 9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잠정 합의했던 제도다. 그러나 새누리당 친박근혜계와 청와대 일각에서 거세게 반발해 도입이 무산되는 듯했다.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 실현’이라는 식으로 포장하지 말고 김 대표가 여야 동시 오픈프라어머리 도입 무산에 대한 책임을 지라는 논리였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14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선 과정에 안심번호를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당 관계자는 “야당과 합의를 이행한다는 차원에서 이학재 정개특위 간사에게 야당과 안심번호제에 합의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글=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사진=김성룡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