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식품의 '절대강자'는 만두…교자만두 뜨고, 왕만두 지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냉동식품의 ‘절대강자’는 만두였다. 시중에 팔리는 냉동식품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중국 수출까지 급증하는 추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4일 이같은 내용의 ‘2015년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냉동식품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만두·핫도그·피자·튀김류 등 냉동식품 생산량은 지난해 20만3803t을 기록했다. 액수로는 6084억원이다. 6년 전인 2008년 11만973t, 2450억원과 비교해 83.7%, 148.3% 각각 급증했다.

기사 이미지

주요 냉동식품 생산 실적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지난해 국내 냉동식품 소매시장 규모는 7120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만두는 55.7%으로 절반이 넘는 비중을 차지했다. 냉동식품 가운데 시장이 가장 컸다. 나머지 냉동식품의 소매시장 비중은 튀김류 13.1%, 떡갈비·너비아니류 8.5%, 동그랑땡·완자류 8.2%, 스낵류 5.7%, 돈가스류 5.1% 등이었다.

기사 이미지

냉동식품 소매 시장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냉동식품 강자’ 만두 중에서도 종류별로 순위가 갈렸다. 지난해 냉동만두 소매판매액은 3966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밀가루 피는 얇고 속은 꽉 찬 교자만두가 1위로 32.5% 비율을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2.4%포인트 비중이 늘었다. 2위는 왕만두로 26.4% 비율이었다. 1년 전보다 4.7%포인트 비중이 줄었다. 3위는 군만두(19.3%), 4위는 물만두(15.4%)였다. 냉동만두 수출액은 2010년 1272만 달러에서 지난해 2220만 달러로 74.5% 급증했다. 중국으로 수출이 크게 늘면서 전체 냉동만두 수출액이 증가했다.

한편 올 10월 30일부터 11월 9일까지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표본 조사를 한 결과 40.8%가 ‘간편식보다 냉동식품을 구입한다’고 답했다. 이들에게 이유를 다시 물었더니 ‘유통기한이 길어서’(37.2%) ‘조리 방법이 더 간단해서’(27.9%) ‘가격이 저렴해서’(15.2%)란 응답이 이어졌다. 냉동식품을 ‘언제 어디서 먹느냐’는 질문에 가장 많은 40%가 ‘가정에서 혼자 식사할 때’라고 대답했다. 성별·연령별로는 남성과 20대에서 이런 응답률이 특히 높게 나왔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