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임동원의 '거짓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대북 송금 의혹의 두 핵심인 박지원.임동원씨가 그동안 해온 해명이 상당 부분 사실과 다름이 드러났다. 특검 수사를 통해 朴씨 등이 북측에 1억달러 지급을 약속한 뒤 현대 측에 이 돈을 대신 부담할 것을 요구했음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朴씨는 지난 18일 영장 실질심사에서 "(대북 송금 사실은) 지난해 9월 국정감사 때 모 의원이 산업은행에서 4천억원 관련 사실을 폭로해 그때 알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특검에 제출한 소명서에서도 비슷한 주장을 폈다. 또 지난해 10월 국회에 나와 "정부 차원에서 정상회담에 대한 어떤 대가도 지불한 적이 없다"고 했다.

당시 "북한이 정상회담 성사 조건으로 대가를 요구하지 않았느냐"는 한나라당 이주영 의원의 질문에도 "북측에서 아무런 요구도 없었고 무슨 대가에 대한 논의도 없었다"고 답했다.

林씨는 지난 2월 14일 김대중 전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발표 당시 배석해 "현대 측의 환전 편의제공 요청을 받고 가능한지 검토해보라는 지시를 했을 뿐"이라고 했다.

그는 또 대북 송금이 정상회담의 대가라는 주장에 대해 "경협사업 독점권에 대한 협상은 정상회담이 논의되기 훨씬 이전부터 시작됐다"며 "현대의 대북 송금은 7대 경협사업 대가"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특검 수사를 통해 朴씨가 金전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우리 측 특사로 참석한 정상회담 예비접촉에서 대북 송금액 등의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드러나면서 해명이 무색해진 것이다. 林씨의 주장 역시 수사 과정에서 국정원이 현대상선의 2억달러 송금 과정을 주도한 사실이 밝혀져 신빙성을 잃었다.

문병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