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토마스 번 "한국 경제. 튼튼한 경제 구조 가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한국 경제는 1997년과 2008년 두 차례 위기 이후 더 강해진 예외적인 국가다. 재정이 탄탄하고 금융 등의 투명성이 높은 튼튼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의 부사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를 오랫동안 지켜봤던 토마스 번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이 한국 경제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17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세계경제원구원 조찬강연회에서다. 그는 한국이 외환위기를 겪으며 많이 달라졌다고 강조했다. 번 회장은 “외환위기 이후 한국은 인플레이션을 안정적으로 관리했고, 금융 분야의 투명성도 많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특히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빠르게 회복된 점에 주목했다. 그는 “한국이 흑자를 유지하는 등 재정을 잘 운영해왔고, 공공부문 부채를 철저하게 관리해 부채 부담률도 다른 나라에 비해 낮게 유지한 덕”이라고 분석했다. 그 결과 통화 정책을 펼칠 수 있는 운신의 폭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가계 부채와 관련해서는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이나 가처분 소득 대비 부채 비중이 유럽 국가에 비해 높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또 “한국 국채 금리와 미국 국채 금리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이 이뤄지고 있는데 이는 좋은 징조”라며 “한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국가 재정을 훨씬 더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중국 경기 둔화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한국의 경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중국 의존도도 높은 만큼 부정적 영향은 있겠지만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엔화 약세의 영향에 대해서도 “수출 민감도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의 수출은 일본 보다 경쟁력이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선진 경제에 발맞출 수 있는 구조 개혁이 경제의 관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번 회장은 북한 경제에 대한 분석도 덧붙였다. 그는 “북한이 시도하는 개혁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기회주의적으로 진행된다”고 평가했다. 프런티어 시장에 진입하려면 정치와 제도의 지속 가능한 개혁이 필요하고 높은 수준의 개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이 이런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북한은 프런티어 시장에 진입하기도 어렵고, 진입해도 많은 도전에 직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