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 지하철 2·9호선 빼고 모두 적자…매년 4000억대 손실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서울 지하철 9개 노선 중 7개가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지하철 1∼9호선의 당기순손실은 4245억 원에 달했다. 2012년(4183억원)과 2013년(4172억원)에도 4000억원대의 손실을 기록하는 등 손실 규모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손실이 가장 큰 노선은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3호선이었다. 3호선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1118억원으로 집계됐다. 2012년에는 1154억원, 2013년에는 913억원의 손해를 봤다.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5호선(913억원), 6호선(790억원)과 서울메트로의 4호선(627억원)도 만성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흑자를 낸 노선은 2호선과 9호선뿐이었다. 서울메트로가 관리하는 2호선은 지난해 365억원, 주식회사 메트로9호선이 관리하는 9호선 1단계 구간(개화∼신논현)은 31억원의 이윤을 냈다. 2호선은 강남·삼성역 등을 지나 하루 이용객이 155만명(지난해 기준)에 달해 흑자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관계자는 "9호선은 매년 흑자와 적자를 오가고 있어 안정적으로 이윤을 확보하는 곳은 9개 노선 중 2호선뿐"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지하철은 올 1∼7월에도 총 1602억원의 적자를 냈다. 서울시는 "지하철 재정 악화의 가장 큰 원인은 65세 이상 승객에게 제공되는 무임수송 비율이 지속적으로 늘어난 탓"이라면서 "당기순손실의 68%가 무임수송에 따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말했다. 경영혁신을 위해 서울시가 추진 중인 서울메트로(1~4호선)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 양대 지하철 공사 통합은 시의회가 관련 추경 예산을 삭감하면서 제동이 걸린 상태다.

장혁진 기자 analo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