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역사 관련 학회도 한국사 국정교과서 불참 선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학 교수들의 한국사 국정교과서 집필진 불참 선언에 역사 관련 학회가 동참하고 있다.

16일 한국역사연구회는 "국정 교과서 제작과 관련된 어떠한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국역사연구회는 사학 관련 교수·강사 등 700여명이 소속된 한국사 전문 연구자 단체다. 한국역사연구회는 전·현직 회장과 운영위원들은 전날 비상회의를 개최하고 입장을 정했다.

한국역사연구회는 "어떤 정권이 정권의 사사로운 이해관계와 특정 세력의 역사 세탁을 위해 이리 몰상식하게 학계 전체를 매도한 적이 있느냐"며 "정부와 여당이 국정화 방침을 철회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한국 근현대사 연구자 500여명이 소속된 한국근현대사학회도 성명을 통해 "학회의 모든 회원들은 단일 교과서 집필에 불참하겠다"고 말했다.

대학 교수의 불참 선언도 계속 됐다. 16일 단국대 사학과 교수 6명 전원과 역사 전공 교수 13명 등 총 16명은 성명서를 통해 국정 교과사 집필진 불참 의사를 밝혔다. 이들은 "우리는 비판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역사학 본연의 임무를 도외시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는 역사교육적 측면에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한다"며 "국정 역사교과서 집필 및 제작과 관련된 일체의 과정에 참여하지 않을 것을 밝힌다"고 말했다. 앞서 고려대·경희대의 역사 관련학과 교수, 연세대 사학과 교수 전원도 불참선언을 했다.

한편 참여연대는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와 관련해 유엔 문화권 특별보고관에게 긴급청원을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유엔 특별보고관 긴급청원제도는 심각한 인권침해가 일어날 경우 이를 유엔에 알려 해당 국가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하게 하는 제도다. 특별보고관이 긴급청원을 받으면 사안을 판단해 해당 국가에 행위 금지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낼 수 있다. 참여연대 측은 “역사학자들 외에도 교사, 학생, 시민사회단체 등 강한 반대 입장 표명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진행돼 유엔 문화권 특별보고관에게 긴급청원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노진호 기자 yesn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