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에서도 "교과서에서 근현대사 비중 10% 밑으로 낮추자"

중앙일보

입력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놓고 정치권의 논란이 거센 가운데 13일 여당 내에서도 교과서 내 근ㆍ현대사 부분을 줄이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황교안 국무총리를 향해 “(역사 교과서와 관련한) 논란의 90% 이상은 근ㆍ현대사 부분”이라면서 “새롭게 만들어지는 (국정) 교과서에서는 근ㆍ현대사 비중은 10% 이하로 대폭 줄이고, 논란이 되는 부분은 빼는 것이 지금 이 시점에서는 훨씬 현명한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해방 이후의 역사는 아직 진행되는 ‘당대의 역사’”라면서 “현재 정치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그러한 인물들을 교과서에 기술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느냐”고 따졌다. 또 “근ㆍ현대사를 (역사 교과서 내에서) 50~60%로 비중을 높인 것 자체가 실패”라면서 “(차라리) 근ㆍ현대사를 별도의 책으로 만들어 내라”고도 했다.

하 의원은 대학(서울대 물리학과)시절 북한의 주체사상을 신봉하는 학생운동권에서 활동했다. 하지만 이후 생각을 바꿨고, 현재는 새누리당 내에서도 가장 보수적인 ‘울트라 라이트’ 의원으로 분류된다. 이런 하 의원조차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서 근ㆍ현대사 비중을 낮추는 게 낫다는 제안을 하면서, 보수진영 내의 교과서 관련 의견도 갈릴 전망이다. 하 의원은 황 총리에게 “총리가 균형을 잡아줘야 한다”면서 “교과서 문제로 시간이 더 오래 끌고, 해법이 안 나온다면 우리 정치권뿐만 아니라 정부까지 모든 국민들에게 외면받는 그런 시간이 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하지만 황 총리는 이 같은 하 의원의 제안과 당부에 딱 부러지는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그는 “(근ㆍ현대사 비중과 관련해서는) 여러 의견들을 모아 (의원들이) 판단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다”“(근ㆍ현대사를 50~60%까지 늘린 교과서 검정)체제보다도 (잘못된 교과서) 내용이 중요한 부분”이라는 식으로 피해갔다.

남궁욱 기자 periodist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