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미디어 콘퍼런스] “로봇이 기사 쓰는 시대에 기자 필요한가”…장위안, 우주인 복장 청중 등 도발적 질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기사 이미지

모바일 콘텐트 플랫폼 피키캐스트의 직원이 회사의 캐릭터인 우주인 복장을 하고 질문하고 있다. 피키캐스트는 ‘우주의 얕은 재미’라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분야의 콘텐트를 소개하고 있다. 김상선 기자

 ‘교감하는 콘퍼런스’. 21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중앙 50년 미디어 콘퍼런스’를 한마디로 요약한 표현이다. 이날 콘퍼런스는 통상 한 명의 연사에게 한 시간 남짓 주어지던 발표 시간을 평균 20분으로 잡았다. 청중이 보다 내용에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손석희 JTBC 보도담당 사장 강연 땐 모바일 콘텐트 플랫폼 피키캐스트의 대표 캐릭터 ‘우주인’과 JTBC ‘비정상회담’ 출연자인 장위안이 미디어의 미래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등 질의응답 시간도 20여 분간 이어졌다. ‘로봇이 기사를 쓰는 시대에 기자의 필요성은?’처럼 도발적인 질문도 나왔다.

사진 중심 새 SNS ‘아워 히스토리’
이인호 KBS 이사장 “바라던 서비스”

 신문의 가장 작은 구성 요소인 ‘점’은 이날 무대를 다른 콘퍼런스와 차별화하는 핵심 요소로 쓰였다. 무대 양옆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LED) 모니터 속 1500여 개의 점은 명멸을 반복하며 강연 도중 연사들의 손짓이나 표정을 극대화해 청중에게 보여줬다. 이날 콘퍼런스에 참석한 대학생 이영은(24·여)씨는 “정보 홍수의 시대에서 무엇이 중요한 뉴스인지를 콕 집어 보여주는 신문의 특성을 반영한 무대였던 것 같아 인상 깊었다”고 했다.

 한편 행사장 맞은편에선 중앙일보의 새로운 사진 중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아워 히스토리(Our History)’를 알리는 행사가 열렸다. ‘아워 히스토리’는 중앙일보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등 다양한 사진 데이터베이스(DB)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이야기를 풀어낸 ‘스토리 O’, 매일 일어난 역사적 사건을 정리한 ‘투데이 O’ 등 16가지 콘텐트가 매일 업데이트된다. 이날은 500여 명의 이용자가 행사장을 방문해 서비스를 체험했다. 행사장을 찾은 이인호 KBS 이사장은 “평소 바라던 콘텐트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생겨 반갑다”고 말했다.

글=조혜경·정종문 기자 wiselie@joongang.co.kr
사진=김상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