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기업은 이제 디지털 기업” 유망 벤처 발굴해 투자·멘토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악셀 슈프링거 그룹은 외부에서 성장동력을 수혈하는 데도 적극적이다. 벤처투자사를 자회사로 두고 유망한 디지털 기업에 투자하고 인수한다. 악셀 슈프링거가 이른 시간 내에 디지털 기업으로 체질을 바꾼 비결 중 하나다. 악셀 슈프링거가 주목하는 또 다른 수혈 통로는 스타트업(신생 기업)이다. 2년 전 미국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보육기관)인 ‘플러그앤플레이 테크센터’와 합작해 액셀러레이터 ‘악셀슈프링거 플러그앤플레이’(AS PnP)를 열었다.

 지난 7월 말 만난 울리히 슈미츠(사진) AS PnP 이사는 “기존 기업들은 잠재력이 큰 미래의 ‘시장 파괴자’들과 최대한 가깝게 지내야 한다”며 “AS PnP는 유망주에 대한 투자 기회인 동시에 AS그룹의 ‘혁신 경영’ 수단”이라고 소개했다. 슈미츠 이사는 그룹의 최고기술책임자(CTO)와 그룹 벤처투자사 사장도 겸하고 있다.

 빌트(Bild)의 옛 뉴스룸에 입주한 AS PnP는 유럽의 디지털 미디어·출판 관련 스타트업에 초기 투자와 멘토링을 제공한다. 슈미츠 이사는 “미디어 기업은 이제 디지털 기업”이라며 “현재의 격변을 온몸으로 받아들여야지, 방어하려거나 머뭇거려선 안 된다”고 말했다.

 창업 정신과 기술 혁신에 대한 악셀 슈프링거의 관심은 2013년에도 화제가 됐다. 당시 마티어스 되프너 CEO는 그룹 내 매체의 편집국장·에디터 70여 명을 이끌고 실리콘밸리로 ‘학습여행’(learning journey)을 다녀왔다. 페이스북·구글 등 유명 IT기업부터 작은 스타트업까지 고루 만난 후, 악셀 슈프링거의 미래에 대한 격론을 벌였다. 슈미츠 이사는 “소수의 거물이 움직이는 디지털 시장에 빨리 자리를 잡지 못하면 설 자리를 잃고 말 것”이라며 “디지털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박수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