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사 뭉쳤는데 현대차는 뭐하고 있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이기권(사진) 고용노동부 장관이 작심하고 현대자동차 노사를 비판했다. 15일 취임 1주년을 앞두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다.

 이 장관은 “쌍용자동차는 가동률이 60%밖에 안되지만 노사가 똘똘 뭉쳐 좋은 자동차를 생산해야 고용을 늘릴 수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날 오전 이 장관은 쌍용차를 방문했다. 이어 그는 “반면 현대차 전주공장은 노사가 가동할 수 있는 능력의 80%만 생산하기로 합의했다”며 “시설이나 작업방식을 개선하고도 공장을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 어디에도 생산량과 가동률에 대한 합의가 안됐다고 연장근로를 방해하는 일은 없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현대차 전주공장 노사는 2008년 엔진사업부를 만들면서 가동률을 75~80%로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그 순간 사측은 공장가동의 유연성과 경영의 유연성과 관련된 권한을 노조에 넘겨준 꼴이 됐다”며 “노조의 과도한 경영간섭을 불러온 원인”이라고 말했다. 최근 현대차는 상용차 부문 글로벌 메이커로 도약하기 위해 2020년까지 전주공장에 2조원대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가동률이 고정된 상태에선 투자효과가 나타나기 어렵다. 6월엔 가동률을 놓고 노사간 폭력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 장관은 “현대차 근로자가 공장을 세우면 협력업체에 근무하는 10배에 달하는 노동자가 일거리를 잃는다”며 “노조는 책임의식을 갖고 이런 행태를 반드시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회사도 임시방편적인 합의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총파업을 한 민주노총에 대해 이 장관은 “대부분 기업이 불참했다”며 “생산성에는 영향이 없겠지만 외국에서 한국의 노사관계를 나쁘게 볼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되면 일자리 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결국엔 근로자에게 손해가 된다”고 했다.

김기찬 선임기자 wol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