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에 떨고 있는 금융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손실 파장이 은행권으로 번지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구조조정에 들어가면 은행 빚을 제대로 갚을 수 없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은 2011년 수주한 반잠수식 시추선 등에서 본 2조원대 손실을 뒤늦게 올 2분기 실적에 반영하기로 했다.

 15일 NH투자증권에 따르면 국내 은행권의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신용공여액은 21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채권·유가증권·확정지급보증과 같은 신용공여액을 모두 합친 금액이다. 은행별로 보면 수출입은행(12조5000억원)이 가장 많고 산업은행(4조1000억원)·농협(1조6000억원)이 뒤를 잇고 있다. 시중은행 중에선 하나·외환은행(1조95억원)에 이어 국민은행(8967억원)·우리은행(5469억원)·신한은행(4087억원)순이다.

 이날 주식시장에서 대우조선해양 주가는 손실 소식에 하한가를 기록하며 8750원으로 내려앉았다. 2003년 3월 이후 12년4개월 만의 최저치다. 회사채 값도 전날보다 19.6% 내린 7960원을 기록했다. 하나금융지주(-7.62%)·우리은행(-5.5%) 을 비롯한 은행주도 일제히 하락했다.

 대주주인 산업은행을 포함한 채권단은 손실이 확정될 경우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에 들어가기로 했다. 일단 대출 만기 연장 대신 자산 매각, 인력 감축을 요구하는 자율협약에 무게를 두고 있다. 자체 구조조정으로는 손실을 해소하기 어렵지만 법적 강제성이 있는 워크아웃 등에 들어갈 정도는 아니라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자율협약에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1만3000명의 대우조선해양 직원뿐만 아니라 납품업체 직원까지 고용 불안을 겪을 수 있다.

 최진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이 성장률 전망치를 2%대로 낮춘 상황에서 주 채무계열인 대우조선까지 흔들리면 경기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경 기자 uni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