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는 우리쪽” … 원전 해체센터 유치 부산·울산 동상이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원자력시설 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를 울산시와 공동으로 유치하기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겠다.”(서병수 부산시장, 지난 17일 고리원전 방문 뒤)

 “제조·부품·소재와 인력 양성 등 원전 해체산업은 어마어마한 잠재력이 있다. 부산·울산의 특성에 맞춰 해체산업을 유치하면 상생할 수 있다.”(김기현 울산시장, 지난달 6일 부산 공무원 대상 특강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16일 고리원전 1호기를 영구 정지하기로 결정하자 부산시와 울산시가 공동으로 1호기 폐로를 위한 정부의 해체센터 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하지만 해체센터 부지 선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 전망이다. 미래과학창조부는 올 연말까지 타당성 조사를 벌인 뒤 자치단체 공모를 거쳐 2017년 해체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부지 3만3000㎡ 구입과 센터 건립, 기술 개발 등에 4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원전이 있거나 원전 인근에 위치한 8개 시·도가 지난해 정부에 유치 의향서를 냈다. 그 중 원전이 많이 몰려 있는 부산·울산과 대구·경북 간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부산에는 6기가 가동 중이고, 부산 경계인 울산(울주)에는 올 연말과 내년 초 시운전 예정으로 2기가 건설 중이다.

 그런 가운데 부산·울산이 공동 유치를 선언하면서 유치 경쟁에서 한발 앞서가는 모습이다. 문제는 부산·울산이 해체센터의 입지를 서로 달리한다는 점이다. 앞으로 TF 회의에서 험난한 협의를 예고하는 부분이다.

 부산시는 고리 1호기 인근인 기장군 장안읍 방사선의과학단지(전체 120㎡)에 센터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이미 해체센터에 필요한 이곳 부지 3만3000㎡를 정부에 제공하겠다고 제시했다. 울산시에서 6㎞가량 떨어진 방사선의과학단지에 관련 산업을 집적화하겠다는 뜻이다.

 반면 울산시는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일대 103만5555㎡에 조성 예정인 에너지융합산업단지에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역시 부지 제공 의사를 정부에 밝혔다. 이 산업단지에 2018년까지 1800억원을 들여 부지를 조성해 원전 관련 기업체와 원전 융합 IT혁신센터, 원전 기자재 인증센터 등을 유치하겠다는 전략이다. 부지공사는 올 연말이나 내년 초 착공할 예정이다.

 부산·울산의 경쟁은 해체센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데서 비롯됐다. 한수원이 지난해 5월 방사선폐기물학회에 용역을 의뢰한 결과 고리 1호기 폐로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는 해체 시작부터 13년간 77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생산 유발 5682억원, 부가가치 창출 2069억원(고용창출 3798명) 등이다.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내세우며 당선된 자치단체장으로선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다.

황선윤·유명한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