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취임 100일 회견 분야별 일문일답] 국정시스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개각해야 한다는 여론이 있는데. 청와대 보좌진의 교체 필요성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계획 없다. 장관이 잘못이 없더라도 더 좋은 사람 있으면 영입을 위해 바꿀 수도 있다. 그러나 3개월도 안된 사람을 그렇게 할 순 없다. 약간의 문제가 있더라도 좀 더 일할 기회를 드리고 검증한 다음에 바꾸더라도 해야지 개각만 자주 한다고 정치가 잘 되는 것 아니다. 과거 정권의 잦은 개각은 성공하지 못했다. 개각은 신중하게 가급적 오래 가도록 하겠다. 보좌진 문제는 비서실장이 관계 수석들과 회의해서 요새 하는 인사 검증의 마지막 단계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문제들을 다 확인.관리한 뒤 필요하면 보좌진 인사문제까지 해나갈 것이다. 이 문제도 한발 물러서 가급적 실장이 책임지고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시스템 작동이 마비되거나 편향됐다는 지적이 있다.

"화물연대만 해도 문제 해결은 정부의 장관들과 총리가 했다. 이 문제에 관해 그래도 (여론은) 대통령이 해결했다는 것 아닌가. 문재인(文在寅) 민정수석은 그 사람(화물연대 측) 설득하러 다녔지 협상조건에 끼어들지 않았다. 일부 언론에는 노무현이 전화 건 것만 보이고 총리와 장관이 회의한 것은 안보인 것 아니냐. 대통령만 비추는 문화가 있다. 총리나 다른 장관 모두 자세히 보면 일을 많이 하고 있다."

盧대통령은 회견문에서 사회 갈등 현안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다는 비판에 대해 "저와 정부의 잘못도 적지 않았음을 솔직히 인정한다. 시행착오도 있었다"면서 "그러나 이런 변화들은 지극히 상식적인 민주주의 원리를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노사분규와 그로 인한 손실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었다는 통계도 강조했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