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김승연 회장, 차명보유 주식 세금 5억원 돌려 받는다

중앙일보

입력

김승연(63) 한화그룹 회장이 차명보유 사실을 숨겼다가 뒤늦게 신고한 계열사에 부과된 세금 5억원을 놓고 과세 당국과 벌인 행정 소송에서 최종 승소했다. 이번 판결로 김 회장은 계열사 신고 규정을 어긴 것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고도 누락된 세금을 내지 않게 됐다.

대법원 2부(주심 이상훈 대법관)는 김 회장이 “한화 계열사 태경화성의 양도소득세 추가분 5억 3600만원의 세금을 취소해달라”며 서울 종로세무서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재판부는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의 요건’은 공정거래법에 따른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에 속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만 있을 뿐 자료를 일부러 늦게 내면 계열사 편입 시기를 소급적용하도록 규정하지는 않고 있다”고 한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했다.

이번 소송에서 중요한 쟁점은 과세 당시 태경화성을 한화그룹 계열사로 봐야할지, 중소기업으로 봐야할지 여부였다. 이에 대해 대법원이 중소기업이라고 결정한 것이다.

법원에 따르면 김 회장은 1983년 태경화성을 설립하면서 회사 주식을 차명으로 보유했다. 이 때부터 실질적인 한화그룹 계열사로 볼 수 있지만 공정거래위 등 관계 당국에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 태경화성은 표면상 대기업 계열사가 아닌 중소기업으로 분류됐다. 이에 따라 김 회장은 2009년 6월 누나에게 이 회사 주식 4만 300주를 1주당 3만 5000원씩 받고 넘기면서 중소기업 기준의 양도소득세율(10%)을 적용, 1억 4000만원만 납부했다. 소득세법에 따르면 대기업 계열사 주식을 양도할 경우 20%의 세금을 내야 하고 최대 주주가 보유한 주식은 30%가 할증된다.

김 회장은 2011년 3월에야 태경화성을 한화 계열사로 신고했고, 과세 당국은“태경화성의 설립 시점부터 소급해 계열사로 보면 2009년 양도소득세율도 대기업 계열사 기준을 적용해야한다”면서 5억 3600만원의 세금을 추가로 부과했다. 이에 김 회장은 추가분에 대해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김 회장이 계열사 관련 자료를 누락해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부분은 지난해 2월 유죄가 확정됐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