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부부 중 한 명 농사 외 수입 필요 … 방과후 교사·노인 돌보미 등 일자리 늘려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귀농 장려보다는 농촌 일자리 창출이 우선이다.”

 전문가들은 귀농·귀촌 증가 추세가 자리를 잡으려면 일회성 지원 정책보다는 안정적으로 ‘먹고살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는 게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표적인 일자리 창출 방안 중 하나로 거론되는 게 공공서비스 분야 일자리를 늘리는 방안이다.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매달 들어가는 현금 지출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부부 중 한 명은 별도의 수입원이 있는 일자리를 가져야 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아내가 요양보호사나 노인 돌보미로 활동하거나 남편이 방과후 교사로 나서는 식이다. 김 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건·의료·문화·교육 등 농촌 공공서비스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인턴 제도를 참조할 만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일본에서는 농사를 짓는 농업법인이 귀농인을 인턴으로 채용하면 정부가 1~2년간 월급을 지원해 준다. 이후 귀농인의 영농계획을 심사해 타당성이 입증될 경우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인턴 제도는 귀농인들이 정착해 소득을 올릴 때까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광호 한국농수산대 교수는 “귀농귀촌을 미래 농업인력과 식품의 안정적 확보 차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며 “5~10년 뒤를 내다보고 중장기적 안목에서 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적 팽창을 넘어 질적 전환을 위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체계적인 교육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윤석인 여주농업경영전문학교 교수는 “귀농에 성공하려면 적어도 2~3년은 실습 위주의 현장 기술교육과 준비 과정을 거치는 게 바람직하다”며 “이를 위해 단계별로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채상헌 천안연암대 교수는 “마을 주민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게 성공적인 정착의 최대 관건”이라며 “지역 사회에 적응하지 못할 경우 실패하기 쉽다”고 조언했다. 국립농업과학원 최윤지 박사도 “정부도 귀농귀촌인들이 마을 공동체에 동화돼 주민의 한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취재팀=박신홍(팀장)·송의호·황선윤·김방현·임명수·김윤호·최종권 기자 jbjean@joongang.co.kr

사진 설명

농사 짓고 재능기부 … 달라진 귀농 2010년 충남 공주로 귀농한 임채섭·금승원씨 부부는 서울에서 억대 고소득자였지만 “보다 의미 있는 삶을 살고 싶다”며 귀농 했다. 블루베리 농장을 가꾸는 틈틈이 인근 초등학교에서 방과후 수업도 한다. [프리랜서 김성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