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본식 장기불황 의미…한국에 주는 시사점 많아 '우리도 잃어버린 20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본식 장기불황 의미’. [사진 중앙포토]

  경기침체와 물가하락이 이어지며 일본식 장기불황 의미기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20일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디플레이션 우려를 밝혔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개월 연속 0%대에 그치고 있어 경기가 살아날 조짐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이 일본식 장기불황과 비슷하다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쏟아지고 있다. 동맥경화처럼 돈이 돌지 않는다. 25년째 장기불황에 빠진 일본 같다. 일본은 경제성장률·물가·투자·금리가 모두 최저 수준에 머무는 ‘신 4저 시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일본식 장기불황이란, 1991년부터 일본경제의 거품이 꺼지면서 경기가 침체하고, 이후 정부의 여러 정책에도 2001년까지 경제성장률이 평균 1.1%에 그치는 유례없는 장기침체를 지속했던 것을 가리킨다. 부동산 거품 붕괴 → 은행 부실 누적 → 대출 기피 → 기업·가계 부도 → 자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실물경제가 장기 불황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태다. 2000년대 중반부터 반등하는가 했던 일본 경제의 침체가 여러 정책에도 최근까지 이어지면서 ‘잃어버린 20년’으로 바꿔 부르기도 한다.

1990년대 초 일본 경기침체의 주된 원인은 주가와 지가 등 자산가치의 급격한 하락 때문이었다. 당시 일본에서는 자산가치가 떨어지자 일본 금융기관들은 대출해 준 돈을 받지 못해, 부실채권이 눈덩이처럼 쌓이기 시작했다. 또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융통해야 하는 일본 기업들에게도 자금난이 닥쳤다.

이같은 일본식 불황이 전세계에 나타나고 있다. 증후는 다각적이다. 환경오염, 혁신의 한계, 사회 양극화, 공급과잉, 인구감소, 부채사회 등. 일본의 예에서 볼 수 있듯 환경 문제만으로 불황이 올 수 있다. 원자력 발전 위주의 개발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원전 가동 중단 → 세계에서 산업용 전기요금이 가장 비싼 나라 → 경상수지 적자 → 엔화 약세 등 화살표는 이어지는데 나비효과처럼 모든 분야로 어둡게 확산한다.

일명 ‘전환형 복합불황’시대다. 풀이하면 성장 시대는 끝났고 정치·경제·사회 모든 분야에서 침체가 오고 있다는 진단이다. 다소 우울하지만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일본은 ‘현재의 문제와 위기를 자신의 생활과 분리된 남의 일로 파악하는’ 극장화 현상으로 위기를 방치했다는데, 우리의 오늘은 어떤지. 일본의 장기불황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많다.

온라인 중앙일보 jstar@joongang.co.kr
‘일본식 장기불황 의미’.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