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씀바귀 특징, 봄철 나른한 춘곤증 이겨내기 좋은 봄나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씀바귀 특징

4월 봄이 오면서 춘곤증에 좋은 봄나물이 인기다. 춘곤증에 좋은 봄나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효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중 으뜸으로 치는 것이 냉이다. 냉이는 채소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고 칼슘과 철분 등 무기질 함량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 B1과 C가 매우 많아 소화기관이 약하고 몸이 허약한 사람이나 출혈환자에게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 냉이는 잎부분에 비타민A와 C, B2가 풍부해 면역력 향상과 피로예방에 좋다. 뿌리의 쌉쌀한 맛은 식욕을 자극시켜 소화효소 분비를 도우며 콜린 성분이 풍부해 고지혈증 개선에 도움이 된다.

냉이는 달래 씀바귀와 함께 이른 봄 양지바른 밭가에 돋아나 봄이 왔음을 알리는 전령이다. 냉이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골고루 분포하며 잎과 뿌리를 채취하여 먹는다. 냉이는 3~4월에 가장 제철이며 뿌리가 굵고 너무 질기지 않으며 잎의 색이 녹색인 것, 잎과 줄기가 자그마한 것, 향이 진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또 냉이 보관일은 3일 정도이므로 구입 후 바로 요리해 먹는 것이 좋다.

냉이는 채소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고 칼슘과 철분 등 무기질 함량이 풍부해 소화기관이 약하고 몸이 허약한 사람에게 좋다. 옛날에는 눈이 붓고 침침할 때 냉이 뿌리를 찧어 만든 즙을 안약으로 사용했을 정도로 눈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 냉이는 한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냉이는 지혈제로 쓰는데 자궁출혈이나 월경과다 치료제로도 사용된다. 냉이는 봄철 식탁에 흔히 오르는 식재료이기도 하지만 독성분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끓는 물에 데쳐 먹는 것이 안전하다.

이 밖에도 춘곤증에 좋은 봄나물로는 취, 달래, 쑥 등이 꼽힌다. 취나물은 비타민 A와 탄수화물, 칼륨, 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으며, 두통과 감기, 진통 해소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취나물은 특유의 맛과 향, 식감으로 밥반찬 및 산채비빔밥의 재료로 사랑받고 있다.

달래에는 알리신 성분이 들어있어 식욕을 돋우며 항암,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다. 달래 100g에는 비타민 C가 한국인 권장 섭취량의 33%가량 포함돼 있고 노화를 방지하고 면역력을 높인다. 하지만 비타민 C의 경우 조리과정에서 가열로 약 70~80%가 파괴된다. 따라서 달래는 된장찌개 등에 넣어 끓여 먹는 것보다는 무쳐서 섭취하는 것이 좋다.

쑥에는 비타민 A인 카로틴 함량이 높아 봄철에 떨어지기 쉬운 면역력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칼슘과 철분이 풍부해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다.

춘곤증에 좋은 봄나물, 두릅

씀바귀 특징은 무엇일까. 씀바귀는 여러해살이로 가는 줄기가 바로 서서 자라며, 달리는 줄기를 내지 않는다. 씀바귀 잎에서 난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겹에움모양이고, 줄기에서 난 잎은 어긋나며, 그 기부는 주걱모양으로 줄기를 감싼다.

씀바귀 꽃은 4~7월에 황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고른꽃차례모양의 두화로 관상화는 없고 모두 설상화다. 총포 바깥조각은 5~6개이고, 화주가 길어지면서 꽃가루를 방출한다.

씀바귀 종류의 뿌리는 약재로 고거라 하며 ‘맛이 쓴 상추’라는 의미다. 향약집성방에서는 고급 채소로 취급했고, 향명으로 수이화라고 표기했다.

그런데 씀바귀는 분포중심지가 동해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과 일본이며, 특히 예부터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생활 속의 들풀로 여겨졌다. 식물체에 상처가 나면 흰 즙(乳液)이 나며, 여러 해 동안 살아가면서 땅속에 굵은 뿌리가 발달한다. 씀바귀 종류는 봄나물로는 고들빼기에 견줄 바가 아니지만(고들빼기 참조), 계절 음식으로 이용되었다. 소금물에 담가두었다가 김치(지)로 만들어 먹었고, 어린잎은 데쳐서 나물로 먹었다.

온라인 중앙일보
'씀바귀 특징'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