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 뇌경색 위험 증가 "당뇨병·고혈압·고지혈증 환자에게 아스피린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아스피린 뇌경색 위험 증가 요인일까.

1일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박병주 교수팀은 2006∼2007년 당뇨병 진단을 받은 40∼99세 환자 26만1065명을 저용량(75~162㎎) 아스피린 복용군(1만5천849명)과 나머지 비복용군으로 나눠 2009년까지 최대 4년을 추적 관찰해 아스피린 뇌경색 위험 증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뇌졸중은 성인 사망의 주요 원인 질환 중 하나로 크게 출혈성 뇌졸중(뇌출혈)과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는 전체 뇌졸중의 70∼80%가 뇌경색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아스피린을 꾸준히 복용한 당뇨병 환자의 뇌경색 위험도는 아스피린 비복용군의 1.7배에 달했다. 복용군이 비복용군보다 뇌경색 발생 위험이 70%나 높았던 셈이다. 특히 1년 이상 장기 추적 관찰한 당뇨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이런 위험도가 1.9배로 더 높아졌다.

아스피린 뇌경색 위험 증가 `1.7배 수준`…뇌경색 예측지도보니 `충격` `아스피린 뇌경색 위험 증가` [사진 중앙포토]

고혈압과 고지혈증 동반 여부에 따른 소그룹 분석에서는 아스피린 복용군이 비복용군에 비해 뇌경색 발생 위험이 모두 증가했고, 남성에서 그 위험 수준이 더 높았다. 저용량 아스피린이 당뇨병 환자에게 오히려 해롭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박 교수팀은 지난 2012년 저용량 아스피린을 처방받은 당뇨병 환자들의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이 40%가량 높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박병주 교수는 “당뇨병 환자가 심혈관계질환 예방 차원에서 아스피린을 복용할 경우 가족력 등 위험요인, 아스피린 저항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 의사의 종합적인 판단에 따르는 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아스피린 뇌경색 위험 증가 `1.7배 수준`…뇌경색 예측지도보니 `충격` `아스피린 뇌경색 위험 증가` [사진 중앙포토]

한편 ‘뇌경색 위험 예측지도’가 한국인의 노지도를 완성해 화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동국대 일산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 국내 11개 대학병원과 함께 '한국인 허혈 뇌지도'를 완성했다고 29일 밝혔다. 만성적 뇌혈류 순환장애 정도를 등급화한 허혈 뇌지도를 활용하면 자신의 만성 허혈성 뇌손상이 우리나라 뇌경색 환자 기준 100명 중 몇 등인지 알 수 있다.

허혈 뇌지도는 2011년부터 10개월 간 11개 대학병원에 '처음 생긴 급성 뇌경색'으로 입원한 2699명의 뇌MRI 영상을 이용해 뇌혈관 위험인자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됐다. 이번에 개발된 허혈 뇌지도는 1등에서 100등까지 각각의 표준화 등수에 해당하는 만성 허혈성 뇌손상 크기와 위치를 동시에 보여준다. 특히 연령대별 허혈 뇌지도를 참고하면 뇌 건강나이도 추정할 수 있다. 한국인 허혈 뇌지도는 '한국인 뇌MR영상 데이터센터' 홈페이지(brainmr.com)를 통해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

온라인 중앙일보
[사진 중앙포토]
'아스피린 뇌경색 위험 증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