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휴대폰 사업… 월드컴社 특혜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지난해 사상 최대의 회계부정 스캔들을 일으켰던 전화회사 월드컴이 이라크의 휴대전화망 구축 사업자로 선정돼 논란이 일고 있다.

월드컴은 지난해 6월 1백10억달러의 초대형 분식회계로 주주들에게 1천8백억달러의 손실을 입힌 사실이 적발돼 5억달러의 벌금을 추징당하고 파산했다. 법정관리에 들어간 월드컴은 회사명을 MCI로 바꾸고 재기의 몸부림을 치고 있는 상태다.

그런데 이달 초 미 국방부는 MCI를 4천5백만달러 규모의 이라크 긴급 휴대전화 통신망 사업권자로 지명한 것이다. 이에 따라 MCI는 바그다드 일원에서 구호.복구요원들이 사용할 5천~1만대의 휴대전화를 위한 무선 중계망을 구축하게 된다.

이에 대해 통신업체 AT&T의 짐 맥건 대변인은 "사상 최대의 회계 부정을 저지르고 이동통신망 구축실적도 별로 없는 기업이 사업자가 된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통신업체 모토로라의 놈 샌들러 대변인도 "언론보도가 나온 후에야 사업자 선정사실을 알게 됐다"며 국방부가 공개 입찰 없이 MCI에 사업을 맡겼다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국방부 대변인 켄 맥클레런 중령은 "계약이 이달 초 체결됐다는 것 외에 구체적인 과정은 모른다"고만 밝혀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강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