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서울서 북한 인권대회… 미국 행정부서 예산 지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다음달 서울에서 대규모 북한 인권 국제행사가 열려 남북 관계와 국제사회의 대북 인식에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12월 8~10일 진행되는 북한 인권 국제대회는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을 공개하고, 전 세계적 관심과 대처를 촉구하는 행사다.

미국 남부 보수 기독교단체(배럿 듀크 미 남침례 교단연합 대표), 북한 인권 결의안을 유엔에 제출한 유럽연합(엘머 브락 EU 외교위원회 위원장) 등 최소 30여 국제기구와 인권단체 대표급 인사가 참석한다. 황장엽씨를 미국으로 초청했던 수전 숄티 미 디펜스포럼 재단 대표와, '1년 내 북한 붕괴론'을 주장했던 대북 강경론자인 마이클 호로위츠 미 허드슨연구소 선임연구원, 국제인권단체인 프리덤하우스의 피터 애커먼 총재, 일본인 납북자 송환운동을 활발히 벌이고 있는 마스모토 데리야키 일본납북자가족협의회 대표 등도 포함돼 있다.

북한 인권 관련 문제가 모두 제기될 것임을 예고한다.

북한민주화운동본부 등 국내 인권단체들이 주최하는 형식이지만, 미 행정부의 예산이 지원됐다. 미 국무부는 4월 인권단체인 프리덤하우스에 1년간 북한 관련 인권대회를 개최할 비용으로 197만 달러(약 20억원)를 지원했다.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와 제이 레프코비츠 북한인권특사 등 미 국무부 인사들도 대회에 참석한다. 7월 첫 북한 인권 국제대회를 워싱턴에서 열었던 프리덤하우스는 서울 대회의 해외인사 초청 비용을 분담한다. 준비위원회 관계자는 "행사 비용을 국내 단체와 프리덤하우스가 절반씩 분담한다"며 "준비위는 국내행사용 비용만 모금.기부금 등을 통해 마련한다"고 했다. 통일연구원 관계자는 "미국이 6자회담장에선 북한 인권을 거론치 않지만 그 바깥에선 침묵으로 일관하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행사"라고 말했다.

대회 준비위는 행사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북한인권주간을 선포하고, 정치범수용소의 수용자 명단을 공개하며, 인권사진전시회와 북한 인권 리본 달기 운동 등을 펴 분위기를 띄울 계획이다. 준비위 관계자들은 "남북 관계를 고려해 인권을 뒤로 미룰 수는 없다"고 했다.

민간 단체 행사여서 개입할 수 없는 정부는 당혹스럽다. 대회의 성격과 비중으로 볼 때 북한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다음달 13일의 남북 장관급회담을 앞두고 북한이 어떤 태도를 보일지 주목하고 있다"고 했다. 6자회담에 미칠 여파도 고민이다. '가능한 한 이른 시기'정도로밖에 후속 회담 일정을 잡지 못한 상태에서 북한이 이 대회를'미국의 북한 전복 전략'이라며 문제삼으면 조속한 회담 개최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