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대선 주자 겨냥했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당장 내년 지방선거부터 문제다. 부동산 투기, 탈세 등 떳떳지 못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사람들의 경우 출마 자체를 꺼릴 수밖에 없다. 정부 고위 공직자 중에도 현직에서 물러나야 할 사람이 나올 수 있다.

정작 관심은 2007년 대선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공직자윤리법 개정안이 특정 후보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그러나 법안을 발의한 김한길 의원은 "특정 정치인을 겨냥한 법은 절대 아니다"고 말했다. 재산이 많고 적은 게 문제가 아니라 아무리 적은 금액이라도 형성 과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만일 수입이 전혀 없었던 운동권 출신이 재산을 갖고 있다면 적은 돈이라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인 셈이다.

대선 주자들의 반응은 꺼릴 게 없다는 것이다. 이명박 서울시장은 공개된 재산이 186억여원에 달하는 재력가다. 그러나 이 시장의 한 측근은 "법이 통과되더라도 전혀 거리낄 게 없다"며 "국내 굴지의 기업에서 최고경영자(CEO)를 20년 가까이 했고, 현대가 대그룹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한 것에 회사가 보상해 준 것이 전부"라고 말했다. 이 시장과 가까운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도 "만의 하나 무슨 의도가 있더라도 이 시장은 전혀 걱정할 부분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 관계자는 "월급쟁이 CEO 출신이 무슨 수로 그렇게 많은 돈을 모았느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를 향해 한 여당 관계자는 "국회의원 당선 전까지 한 번도 돈을 벌어 본 적 없는 사람이 어떻게 재산을 모았냐"고 말했다. 박 대표 측은 "국회의원 당선 전엔 대통령 유족 연금을 받았고, 95년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되면서 매달 1000여만원의 월급을 받았다"며 이 같은 주장을 일축했다.

열린우리당의 경우 방송사 앵커(정동영 통일부 장관), 변호사(천정배 법무부 장관) 등 확실한 수입원이 있었다. 여야 후보군 중 상대적으로 재산이 적은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과 손학규 경기지사 측도 별로 신경 쓰지 않는 눈치다. 35억원 안팎의 재력가로 알려진 고건 전 총리 측은 "부친(사망)과 아들 재산을 빼면 15억원 정도"라고 설명했다.

김선하.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